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FGI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여자 대학생들이 사이버상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 지 채팅상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여자 대학생의 사이버상담 경험은 사전 인식과 태도,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효과적인 채팅상담을 위한 대안의 총 4개의 내용영역, 22개 범주, 4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상담주제에 대한 선입관, 자기문제에 대한 고정관념, 상담에 대한 불안, 상담에 대한 기대의 4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긍정적 경험은 친밀감, 공감적 이해, 지지와 격려, 문제에 대한 명료화, 알아차림, 문제관련 정보획득, 정서적 해소, 사고의 변화, 행동변화 의지 및 실행, 상담 자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전문가로서 신뢰를 주지 않는 상담자, 진정성 없는 상담자, 문제 명료화 부족, 지나친 소극적 태도, 텍스트기반 상담의 문제, 채팅상담 시스템의 문제로 나타났다. 넷째, 시스템 대기시간의 지연, 상담시간정보 부족, 상담자정보 부족, 저장기능의 부재 문제들이 보고되었고, 대안으로 상담시간 예약제, 상담시간 표시배너 설치, 저장확인 메시지, 상담자 정보제공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채팅상담에서의 실제 상담경험을 내담자의 시각으로 직접적으로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t-counseling experience. First,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chat-counseling consisted of prejudice about counseling topics, stereotypes about individual problems, anxiety about counseling, and expectation for counseling. Second, the positive experience consists of intimacy, empathy, support, problem clarification, awareness, information acquisition, emotional resolution, thinking change, willingness to change, and change in perception of counseling. Third, negative experiences consist of counselors without expertise and sincerity, lack of clarification, passive attitude, and problems of the text-based counseling system. Finally, delay of waiting time, lack of counselor information, and lack of storage function were reported. As an alternative, a time reservation system, a time display banner, and a counselor information provision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