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을 통해 고갈된 자기조절자원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긍정정서가 섭식행동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 자기조절자원 고갈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섭식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섭식억제를 하는 것으로 분류된 여자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당시의 배고픔 정도를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 자기조절자원 고갈 및 유발된 긍정정서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쿠키 섭취량의 차이가 있는지를 이원공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자원 고갈 조작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고갈조작을 시행한 경우에는 긍정정서가 유발된 집단이 비유발된 집단에 비하여 더 효과적으로 섭식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정서는 자기조절자원의 고갈을 회복시켜 효과적인 섭식조절을 돕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상담 현장에서 섭식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돕는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positive affect, which has been proved to restore the depleted self-regulatory resources, would have the same effect on eating behaviors. To answer the ques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00 female undergraduates who were classified as engaging in restricted eating. Controlling the effects of hunger, the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cookie intake between groups divided based on whether self regulation resources were depleted and whether positive affect was induced, using a two-way ANCOVA.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self-regulatory resources were depleted, the positive affect-induced group regulated eating behaviors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regulation of eating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