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공급사슬 관계에 있는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협업이 정보공유 및 정보기술의 활용 수준을 매개하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각 주체의 협업 - 성과구조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델을 설정하였으며,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mart PSL 3을 이용해 경로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협업–성과구조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운영적 협업이 정보공유 및 정보기술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전략적 협업이 정보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정보공유가 공급사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물류기업보다 화주기업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협업이 성과에 미치는 경로와 강도는 물류기업과 화주기업 각각에 있어상이함을 확인하였으며, 경로상의 차이를 토대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aboration-performance structures of logistics suppliers and shippers in their supply chain collaboration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Based on the extant literatures on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 research model is established which show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llaboration types, Information Sharing, IT Utilization, and performanc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logistics suppliers and shippers staffs according to specific sample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via Smart PSL software. Results : Empirical results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aboration-performance path structures of suppliers and shippers. Shippers were found to have stronger causal relationships than logistics firms concerning the path(e.g., operational collaboration → information sharing, operational collaboration → IT utilization level, strategic collaboration →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sharing → SCM performance). Conclusions : These findings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how the pattern of collaboration can result in a comprehensive set of organizational benefit for logistics suppliers and ship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