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농가의 다중경제활동은 가계 유지 및 재생산 과정에서 중요한 살림살이 전략이다. 일상적인 경제활동이 지역사회 구성원의 사회적 관계에 배태된 농촌에서, 농가의 다중경제활동은 농촌 사회 유지에도 기여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간과되었던 다중경제활동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다중경제활동은 농가들 사이에 일반화되어 있다. 농가가 ‘노동-소비 균형’을 달성하려는 의지의 발현이자, 최근 10여 년 사이에 ‘빈곤화’ 또는 ‘농업 열화’의 경로를 걸어온 적지 않은 농가들의 소득 안정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인구가 줄어 경제활동 기회가 축소된 농촌 지역사회의 필요에 대응하려는 내생적 발전의 실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농가의 다중경제활동을 촉진하려는 정책이 고려해야 할 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농촌 지역경제에서 잘 활용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자원, 특히 노동력을 활용해야 한다. 둘째, 농업 활동을 병행해야 하는 농가 구성원들은 활동 시간이 고정되지 않은 비정규화된 일자리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셋째, 농가의 다중경제활동은 겸업 창업보다는 취업 방식으로 실행되기가 쉽다. 넷째, 특정한 인구사회학적 위치를 점하는 고령자, 여성 등의 다중경제활동 필요에 부응하는 정책을 개발하는 데 힘써야 한다. 다섯째, 농촌 지역사회의 내생적이고 집합적인 실천을 조직하는 가운데 농가의 다중경제활동 기회를 제공할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Most of family farms can not maintain their livelihood without jobs other than their own farming. Pluriactivities are not only very important livelihood strategy for farm households but also parts of the mechanisms that support sustainability of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urrent pluriactivities in rural and give some implications. Pluriactivity family farms are 83.7% of all family farms, implicating that it is the most dominant mode of farming in Korea. Pluriactivities are related to income stabilization of family farms. Moreover, Much of pluriactivities appeared as a collective actions in some rur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businesses, cooperative movements and various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Those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Considerations to develop pluriativities are as follows. Labour force in rural area should be used properly. Non-regular jobs and employment can be more appropriate to farm household member. Policies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women should be developed. Pluri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endogenous and collective practice of rural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