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UN의 대한민국에 대한 원조정책과 대한민국 발전 간의 내생적 관계를 분석했다. 광복 이후 UN 산하의 다양한 기관들은 200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많은 원조를 해왔다. UN 산하 원조 기관들의 원조 배분 기준을 고려했을 때, 두 가지 중요한 원칙을 찾을 수 있다. 첫 번째는 ‘필요’(need)에 의한 원조의 원칙이며, 두 번째는 ‘효율성’(performance)에 의한 원조의 원칙이다. 모순적인 두 원칙은 UN의 원조와 발전 간의 내생적 관계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 대한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와 WFP(World Food Program)의 원조와 대한민국의 발전 간에 발생하는 내생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두 변수 간의 내생성 분석을 위해 벡터자기회귀모형(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는 WFP의 원조와 대한민국의 식량 생산 간에는 이론적 추론과 동일한 상호영향력이 존재하지만, UNDP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 endogenous relationship between United Nations' aid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its development. A large volume of UN aid flow into South Korea have been provided up until recent years. Multiple UN agencies render assistance to lots of countries stuck in extreme poverty and low growth, grounded on their own aid allocation criteria. Prior studies point out two important criteria in explaining the UN's aid allocation, which are 'need base' and 'performance base.' The two aid allocation criteria containing competition and contradiction generate a hypothetical ground of endogenous relationship between the UN aid policy and development. With focusing on the reciprocal influe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and WFP(World Food Program) aid toward South Korea, and its economic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For testing the hypothesis regarding reciprocal influence, we use the VAR(Vector Auto-Regression) model. The test results display that while the endogenous relationship between WFP aid and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of South Korea is pretty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UNDP aid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is w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