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기(傳奇) 갈래는 시(詩)와 문(文)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문체를 특징으로 하는 갈래다.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은 시(詩)가 중요하게 활용된 초기 전기(傳奇) 갈래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최치원(崔致遠)」이 시체(詩體)의 비중이 높은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시 중심의 읽기 방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시체를 중심으로 한 첫 번째 독법으로서 한시(漢詩)의 갈래 특성에 천착하여 ‘운(韻)’의 변화에 주목한 읽기 방법을 제시하고, 둘째로 ‘흥(興)’을 중심으로 한 음미의 읽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에 초점을 맞추어 읽게 될 경우, 작품을 읽는 독자는 그 정서적 작용성에 더욱 큰 초점을 두게 되므로, 시 중심의 독법을 통해 「최치원(崔致遠)」의 서정적인 특질은 보다 미학적으로 포착될 수 있다. 시체 중심의 읽기 방법은 복합적인 문체로 구성된 전기(傳奇) 갈래의 다층적인 미학적 특질을 포착하는 독법 중 하나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The ‘Jeongi' genre is characterized by a style composed of poetry and prose. “Choi Chi-won" shows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early ‘Jeongi' character. In this study, I explore the poetry-centered reading method, considering that “Choi Chi-won" is a work that contains a high proportion of poetry. In this paper, I propose a reading method that focuses on the change of ‘rhyme' centering on the body. Secondly, it focuses on the ‘Heung' reading method. If the readers focus on the poetry, they will concentrate more on their emotional functioning, so the lyrical characteristics can be more aesthetically captured through poetic poetry. The poetry-centered reading method can be proposed as a method to capture the multi-layered aesthetic qualities of texts with complex 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