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의 철학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차별성을 규명하고자 했으며, 그에 따라 철학사 안에서 두 사람의 철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엇보다 정호와 정이를 하나의 철학으로 묶으려고 하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정호와 정이는 천리(天理)의 체인(體認)을 통해 자연과 하나가 되는 인간, 즉 성인(聖人)됨을 학문의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학문적 목표의 동일성과 다른 학문들에 대한 태도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의 차별성이 존재하게 된 것은 정호의 이른 죽음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정호의 생전에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정이는 정호의 사후 20년 간 자신의 철학을 전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특히 천지와 선악을 바라보는 정호와 정이의 관점은 분명히 차별성을 가지고 있었다. 맹자의 성선 개념을 보다 충실히 계승한 정이에 비해 정호는 공자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학의 무위자연적 측면을 고려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정호와 정이의 철학적 차별성이 후대의 유학의 분기의 단초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천리를 자신의 철학의 중심으로 삼은 점에서 두 사람은 리학(理學)으로 묶을 수 있다. 그러나 후대의 학자들에 의해 정호는 자기 내면에서 천리를 체인함을 강조하고, 정이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외부 사물에 대한 탐구를 통해 천리를 인식하는 것을 중시했다는 의미에서 리학과 심학(心學)으로 구분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차별화될 수 있었던 것은 천지자연과 선악(善惡)에 대한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을 하나의 완전한 것으로 바라보고자 했던 정호에 비해 정이는 세상을 선과 악의 이원적 구조로 파악하고 악이 선에 의해 제압되는 보다 완전한 세상을 꿈꾸었다. 다시 말해 인간의 본성을 하나의 천리로 만들어 모든 세상을 도덕적으로 탈바꿈시키려는 것이었다. 정이의 구상은 후대의 심학(心學) 계열의 현대 철학자들에게 공격받았다. 그들은 정이와 주희를 하나의 계열로 묶으면서 유학 내의 정통이 아닌 특수한 계열로 보았으며, 정호에 비해 그 철학적 경지가 낮다고 평가하였다. 주희가 정이의 철학을 중심으로 삼았던 것은 분명하나 정호를 철저히 배제한 것은 아니었다. ‘성리학’이라는 주희의 원대한 구상 속에서 북송오자의 학문은 녹아들어 있다. 정이가 그 중심이기는 했지만, 정호 또한 충분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정호와 정이의 철학적 차별성을 규명하여 그들 철학의 우위를 가리려는 것이 아니라 성리학이라는 큰 그릇 안에서 담길 수 있는 이야기들의 원형을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differentiations of the two Ch'engs'(Cheng-Hao and Cheng-Yi) philosophy through transmission aspect. Their idea on Heavenly Principle(天理 tianli) and moral cultivation(修養 xiuyang, or 工夫 gongfu) shows well his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human and nature and practical vision of how individuals of the society should be. Two Chengs'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practical vision can be better understood to have been formed as a Confucian response to Buddhist and Daoist philosophy that were dominant in the intellectual scene of the Northern Song. Ch'eng brothers's thoughts and achievements is known to us through the sayings recorded by there students and successors. Zhu-xi is a most representative and successful one of them. For his influences, until recently we appreciated that both shared the same ideas, so we may called "two chengs(二程)". But some modern philosophers assum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focused on these considerable differences and established fundamental reason that created these in various aspects. Ch’eng-Hao and Ch’eng-Yi elaborated on the shared vision, revealing their philosophical uniqueness. Cheng-Hao assumes that we do not need to look for Heavenly Principle in external things. Because he thinks that we become aware of Heavenly Principle by looking into ourselves. This approach is much vaguer and less consistent than his brother Cheng-Yi. But his view of nature and human is emotionally more plentiful. For him fundamental unity of all things is not a concept but an experience. So the mutual depedent of opposites is a harmony to be appreciated for itself. And it gives meaning to good and death, life and death, right and wrong, beauty and ugliness. This study addressed these issues in-depth and suggested new opinion in various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