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먼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라는 두 이론적 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두 이론 틀을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전개된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에 적용하여, 이 논쟁의 인성교육적 의미와 의의를 확인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 이 글은 인간이 구성해낸 ‘공동체’는 그것이 어느 시대 어느 지역에서든, 그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 그리고 그 개인이 구성해 낸 공동체 사이의 긴장관계를 함축한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따라서 인간은 인간 자신이 구성한 공동체에 무게 중심을 두고 인간 스스로를 이해할 것인지, 아니면 그 공동체를 구성하는 인간 개체에 무게 중심을 두고 인간을 이해할 것인지 확정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이 그러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전개된 사칠논쟁 역시 일정부분 그와 같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 이것이 바로 이 논문이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이기도 하다. 이렇게 ‘사칠논쟁’을 이해할 때, 이 논쟁은 더 이상 성리학적 한계 속에 갇혀 있지 않고, 보다 보편적 측면에서 인성 혹은 인성교육과 깊은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동시에 인성 혹은 인성교육과 관련해서 개인과 공동체라는 두 가지 요소 가운데 하나를 전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때와 장소에 맞춰 개인과 공동체가 만나는 적절한 선에서 인성에 대한 이해와 인성교육을 요청하게 된다.


This article takes note of the fact that most ongoing researches into character education are carried out through the two frameworks of liberalism and communalism and confirm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reflected in the ‘four-seven debate’conducted between Yi Hwang and Ki Tae-sung based on these two frameworks. In addition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ty' built by humans implies a tension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who constitute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created by individuals regardless of time and region. Thus, we are stuck in difficult circumstance where we have to choose either to understand humans while centering on the community built by humans themselves or to understand humans while centering on the humans that constitute the community. If the debate of liberalism and communalism is to demonstrate such circumstances, the four-seven debate conducted between Yi Hwang and Ki Tae-sung also incorporates such circumstances in it and that is exactly what this paper intends to point out. As described, the four-seven debate is understood to have had a close relation with character or character education from a more universal perspective instead of being confined within the neo-Confucian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acknowledging that completely excluding either one of two key element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is out of the question, we are urged to draw a compromising line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in line with concrete time and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