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唐朝의 喪葬硏究는 『大唐開元禮』 喪葬禮와 『天聖令』 「喪葬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상복은 친족관계를 유지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였기 때문에 역대의 統治者들에게 주목 받았다는 점에서 주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唐 前期에는 喪服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大唐開元禮』의 官人 喪葬禮에는 이러한 喪服에 대한 논의가 담겨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天聖令』 「喪葬令』이 발견되면서 『大唐開元禮』 喪葬禮와의 관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唐朝 敦煌에서 출토된 士人들 사이에 왕래되던 喪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吉凶書儀와 꾸준히 발견되고 있는 고고학 발굴 자료들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唐朝의 喪葬硏究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玄宗朝에 편찬된 『大唐開元禮』의 官人 喪葬禮와 喪葬令과 관련된 연구이다. 이 가운데 『大唐開元禮』의 官人 喪葬禮에 대한 연구는 다시 官人의 喪服과 그 밖의 喪葬禮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唐朝 敦煌에서 출토된 吉凶書儀에 대한 연구이다. 吉凶書儀에는 사인들이 서로 주고받던 서신으로 상장에 대한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에 대한 연구 성과에 대한 정리는 당조 관인들의 상장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현재 발굴되고 있는 唐朝 묘장에 관한 고고학적 성과를 소개하고자한다.


It was in Tang Dynasty that Government official funeral and burial rites were established, developed and matured. In this article, I will introduce the study of Tang Dynasty mourning in three parts. First, it is a study related to the funeral of municipal mourners and mourning ordinances of The Kaiyuan Ritual Code(大唐開元禮) compiled in the Xuanzhong Dynasty. Secondly, it is a study on Jixiong shuyi(吉凶書儀), excavated from Dunhuang(敦煌) in Tang Dynasty. Jixiong shuyi(吉凶書儀) exchanged between the authors and contains various contents about the listing. Finally, I would like to introduc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Tang Dynasty mausoleum which is being excavated at present. It is expected that summary of results on the former research will be understood and the interest in the research field will be raised b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Tang Dynasty that Government official funeral and burial r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