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鄭敾(1676-1759)은 금강산 그림으로 당대 최고의 산수화가라는 畫名을 얻었다. 그가 금강산 그림으로 대성한 이후, 조선에서는 우리나라의 勝景을 묘사한 실경산수화가 크게 유행하였다. 정선의 화명에 힘입어 18세기 이후 실경산수화는 현재 ‘진경산수화’로 불린다. 그런데 이미 존재하던 전대의 실경산수화와 구별하여 정선 이후의 그림들을 굳이 진경산수화로 칭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가령 ‘남종화풍’의 수용이나 ‘한국적 화풍’이라는 화풍적 차원으로, 혹은 조선중화주의에 입각한 국토애나 실학의 산물로, 혹은 동아시아의 실경산수화 제작 관습으로, 또는 새로운 문예사조나 산수유람 문화의 산물로 각기 진경산수화의 의의를 논한다. 이처럼 진경산수화란 용어는 자의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술사학계 내에서 실은 논란이 많은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개념에 대한 이러한 혼선은 선행 연구 대부분이 정선에 대한 당대의 찬사를 이해하기 위해 정선 산수화의 ‘특별한’ 출현 배경에 연구를 집중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배경보다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이 당시에 새롭게 주목받은 맥락인 그의 금강산 그림의 새로운 역할과 의미, 그리고 수용의 문제를 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현재 알려진 정선의 가장 이른 시기의 금강산 그림인 1711년에 제작된 『신묘년풍악도첩』과 1712년 작 『해악전신첩』 두 금강산 화첩을 주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선의 금강산 그림이 새로운 맥락에서 조명된 문화사적 의의를 논할 것이다. 당시 서울 문예계에서 크게 주목받은 이 화첩들은 금강산의 산수미와 그림의 문예적 역할을 새롭게 인식시켰다. 이 논문에서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으로 시작된 진경산수화란 용어를 재고할 것이지만, 정선의 명승명소도를 ‘진경산수화’와 같은 특별한 용어로 부를 것인가는 실은 부차적인 문제일 수 있다. 어차피 그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 용어이기 때문이다. 보다 본질적인 것은 정선의 금강산 그림에 대한 당대의 새로운 담론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선의 명승명소도가 그림 같은 시, 그리고 그림 같은 산수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허용하였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는 주목한다.


Jeong Seon became a nationally renowned artist for his Geumgang-san paintings.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scenic sites also gained wide currency after his success in the landscapes of Geumgang-san. Under his reputation as the artist of pictures of notable sight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late Joseon society are now called the true-view landscapes. However, ‘True-view Landscapes’ is not the terminology of his time. Thus, every researcher uses this term in their own sense. Instead of focusing on that terminology, this paper traces the meaning of an appreciable discourse on issues of Jeong Seon’s Geumgang-san paintings at that time. Gim Chang-heup took the lead in the progressive academic traditions and literature of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Seoul literati society including Jeong Seon. By him, the sightseeing of Geumgang-san and the landscape poetry gained a new and special meaning. The followers of Gim Chang-heup needed Jeong Seon’s landscapes to produce their picturesque poetry. The paper explores the context of why the intellectual elite of the time sheds light on Jeong Seon’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Geumgang-san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effects of such favorable re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