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debate on the effectiveness of multilateral versus bilateral aid. Many middle-power countries have utilized multilateral approaches strategically to overcome geopolitical restrictions and advance their national causes in the world powers-centered ord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middle power countries’ multilateral aid, including the case of South Korea. By doing so, we attempt to discover whether, and to what extent, a middle power prefers the multilateral approach of ODA to a bilateral one. This study will also analyze the emerging pattern of multi-bi aid of middle powers. The multi-bi aid tends to blur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multilateral and bilateral assistance. At the moment of a big transformation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paradigm from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the middle power countries have made substantial efforts to enhance their influence in the world through the means of multilateral aid support.


개발협력의 양자원조와 다자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중요한 주제로 남아있다. 힘이우선시 되는 국제정치 질서 하에서 대다수의 중견국들은 지정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의 이익을추구하기 위해 다자적 접근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중견국들의 다자원조의 주요한 특성을 파악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 중에 중견국이 공적개발원조에 있어다자적 접근을 양자적 접근보다 더 선호하는지, 그러한 경향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중견국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원조형태인 다자적 양자(multi-bi) 원조가 다자와 양자원조의 특징을 모호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다자적 양자원조의 새로운 모습을 분석하고자 한다. 새천년개발목표에서 지속가능한발전으로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본 연구는 중견국들이 다자적 원조를 통해 스스로의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