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壬辰戰爭과 丙子胡亂은 조선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을 둘러싼 국제 정세를 요동치게 만들었다. 중국에서는 明이 淸으로 대체되었고, 일본에서도 정권 교체가 일어났다. 하지만 전쟁의 중심에 있었던 한반도에서는 朝鮮 왕조가 지속되었다. 이에 대해 『The Great East Asian War and Birth of Korean Nation』의 저자 JaHyun K. Haboush는 한반도에서는 정권교체 대신 ‘민족담론(discourse of nation)’이 출현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주로 近代를 배경으로 논의되던 ‘민족(nation)’ 혹은 민족담론을 前近代 조선에 적용하는 이와 같은 주장은 상당히 파격적이었다. 저자는 임진전쟁을 전후하여 조선에서 발생한 민족담론을 증명하기 위해 B. Anderson의 “Imagined Communities” 이론을 설명 틀로 활용했다. 저자는 임진전쟁 전후로 있었던 의병의 출현, 한글의 사용, 전후 기념사업을 통해 자신의 논지를 증명하고자 시도했다. 義兵(Righteous Army)은 의무도 경험도 없지만 자발적으로 목숨을 걸고 전장에 나감으로써 義와 忠을 바탕으로 한 애국주의을 구현했으며, 조선이라는 상상의 공동체를 출현시켰다. 전쟁 중 他-민족을 배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된 한글은 한자를 보완하는 위치로 위계가 상승하였다. 한글은 전쟁 중에 ‘민족적 성격’을 대표했다면, 전후에는 하위문화의 영역에서 조선인의 담론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수평적 공간을 탄생시켰다. 조선 정부는 광범위한 전후 기념사업을 추진하며 전쟁 기억의 국유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기억의 주된 목적은 애국주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와 보상이 이뤄졌다. 조선은 임진전쟁의 기억을 통해 애국심을 공유하는 민족의 공간을 만들었다. 이렇게 저자는 임진전쟁 전후로 나타난 여러 징후들이, 조선 민족이 공유하는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증거임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논증하려 시도한 의병의 성격인 애국주의는 성리학적 가치인 義와 忠을 의미했다. 忠은 義에 기초한 가치였고, 義는 春秋義理에서 출발한 유교윤리였다. 中華 질서에 속해 있던 조선에서 義란 조선과 조선의 국왕을 넘어 중화와 天子에 대한 忠을 포함하는 보편적 가치였다. 이러한 인식은 저자가 분석한 招諭文과 檄書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또한 저자가 민족 형성의 조건으로 제시한 지속성, 일관성, 연결성의 측면에서 이 책의 논지를 검토하면, 의병이 가진 성격의 변천, 조선 후기 한글의 위상, 전후 기념사업의 본질이 변화하는 모습 등에서 저자가 제시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부분이 나타난다. 특히 조선 사회를 지배했던 ‘중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방식에 따라 저자가 제시한 논거들이 오히려 반례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중화의 성격을 명확히 규명하지 않았다. 이 책은 저자 Haboush의 遺稿로, 상당 부분이 未完結 상태로 남았다. 이런 이유로 저작의 완결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저자가 던진 주제의식은 壬辰戰爭史는 물론 한국 및 동아시아를 연구하는 학계에 좋은 연구거리를 제공하였고, 임진전쟁을 소재로 한 연구 지평의 확대에도 공헌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shook the international politics surrounding the three countries of Choson, China, Japan of the East Asian countries. In China, Ming Dynasty was replaced by Qing, and even in Japan, the regime change occurred, but the Choson Dynasty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war continued in the Korean peninsula. Regarding this situation, JaHyun K. Haboush, the author of The Great East Asian War and Birth of Korean Nation, argued that a "discourse of nation" emerged on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regime change. This claim of applying the "nation" or the discourse of nation, which was mainly discussed in the modern period, to the pre-modern Korea was quite unusual. The author used B. Anderson's "Imagined Communities" theory to prove the discourse of nation that occurred in Choson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The author proves his argument through the emergence of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 War, the use of Hangeul, and the postwar commemoration projects. The Righteous Army embodied the patriotism based on righteousness and loyalty of people who voluntarily risked their lives and left for the battlefield, even though they had no experience or duty to do so, and created the imagined community of Choson. Hangeul, which was used as a means to exclude the other nations during the war, rose to the complementary 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If Hangeul had represented the "national character" during the war, it created in the postwar period a horizontal space that produced and circulated Korean discourses in the area of subculture. The Choson government promoted the nationalization of war memories by pursuing a wide range of postwar memorial projects. The main purpose to remember the war was to nourish patriotism by creating a space where people can share their patriotism. As such, the author argued that the various signs that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were evidence of the "imagined community" shared by the Korean people. The patriotism,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Righteous Army argued by the author through this book, meant honor and loyalty, which are the neo-Confucian values. Honor and loyalty were the ethics of Confucianism which had started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with the philosophy of fidelity, and the object of execution of honor was the universal value including the loyalty to China and the Son of Heaven beyond the King of Choson. This perception is revealed in the exhortation letter and poem analyzed by the author. In addition, reviewing the arguments of this book in terms of sustainability, consistency, and connectivity presented by the author as conditions of national formation, there are certain elements that do not satisfy the conditions in the areas such as the transition of character of Righteous Army,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late Choson era and the change of essence in the post war memorial projects. Especially, there could be totally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way of how to characterize 'Sinocentrism' that dominated Choson society. However, this book did not properly characterize the characteristics of ‘Sinocentrism’. This book was from unfinished manuscripts of Haboush and had been edited and published, thus her thoughts and intentions may not have been fully reflected. However, the subject consciousness thrown by the author was heavy enough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the Imjin war as well as the study of the Chos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