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중 양국의 국어·어문 교육의 맥락에서 인류의 보편가치문제를 다루고 있는 문학정전으로서의 외국문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서로 다른 체제 속에서 발전해 온 양국이 ‘어떤’ 작품을 ‘어떻게’ 교육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양국 외국문학 교육의 차이와 공통점을 밝혀 상호간 외국문학교육의 긍정적 시사점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양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목록을 검토하고 양국에서 동일하게 수록하고 있는 작품의 선정이유, 교육의 목표와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써 양국의 '제재 선정기준'과 '번역외국문학'에 대한 양국의 인식의 차이에 대해 논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양국의 외국문학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비교연구를 통해 세계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문학교육의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following study is focused on the ways in which Sou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literature forms of education include works of foreign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universal values of mankind. The study compares both the ways in which South Korea and China use works of foreign literature, and 'how' they are used, despite the difference in development under capitalism and socialism respectively. The ex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ducation in foreign litera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draw positive implications. First, after comparing which pieces of foreign literature have been included in each curriculum, pieces which are included in both curricula will be identified, and compared in terms of the reason of inclusion,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Through this it was noteworthy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reasons for subject matter selection as well as the perception towards translated foreign pieces. Further study related to foreign literature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will be an asset in the advancement of language/literature education in an ever-changing glob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