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구술서사가 갖는 일반적 논리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서사학의 관점들을 소개하여, 미래의 구술서사학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서사학의 출발이 구조주의에서 비롯되었다는 전제를 토대로, 가장 고전적인 구조주의 서사학에서의 구술서사의 논의를 소개하고, 이러한 구조주의 서사학이 갖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생겨난 여러 탈구조주의 서사학의 새로운 가능성들을 검토하려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구술서사에 적합한 탈구조주의 서사학으로 인지서사학, 연행서사학, 매체서사학을 제시한다. 인지서사학은 인간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서사의 발생, 구성, 수용에 개입하는 논리를 다룬다. 연행서사학은 연행이 이루어지는 현장에 개입하는 여러 우발적 요소들이 서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매체서사학은 매체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매체들 간의 전이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서사에 대해 다룬다. 이들 이론들은 각각 야콥슨의 소통모델에서, 발신자와 수신자, 콘텍스트, 접촉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들 모두가 소환되어 기술되어야만, 구술서사는 그것의 특성에 적합한 논리로 기술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통합의 논리를 기호학에서 찾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several narratological perspectives on oral narrative in order to create the productive theory of oral narratology in future. Assuming that narratology had begun from structuralist trend, first of all, I’ll introduce some theories of oral narrative from classical structuralist narratology, and then, on the basis of some problems drawn from this description, I’ll suggest new theoretical possibilities of poststructuralist narratologies. In this article, I’ll suggest three narratologies most proper to oral narrative, that is, cognitive narratology, performative narratology, and media narratology. Cognitive narratology deals with generation, composition and reception of narrative in human mind. Performative narratology deals with the effect of various incidental performative elements on narrative meaning-making. Media narratology deals with various operations of media, including transition and combination among them. Thes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sender/receiver, context, contact in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In order to design the complete theory of oral narratology, all of these elements have to be considered integrally, so, I’ll cautiously suggest the semiotic theory as a matrix of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for such 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