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의 큰 현상 중 하나인 에듀푸어(edupoor) 현상을 불안감이 낳은 주요한 사회현상 중 하나로 파악하고, 그 선행요인과 결과변수들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tudy 1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둔 서울지역 부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여 유력한 변수들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Study 2에서는 Study 1의 결과를 확장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외적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설문지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등, 중등,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이 고루 포함됨과 동시에, 고른 소득계층이 반영되도록 계층표집(stratified sampling)하였고, 응답에 있어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라인 조사를 통해 총 317명의 유효한 학부모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현재 우리사회의 사회적 유동성이 낮다고 지각한 응답자일수록 현재 삶에서의 낮은 행복감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유동성에 대한 지각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불안(교육불안, 저축불안)을 매개로 소비자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분석결과와 종합하여 보면, 교육 불안이 높은 응답자일수록 교육비지출이 많았으며, 이는 불안감에 기반한 지출일 뿐 현재의 소비자행복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 반면, 저축을 하지 못하는 응답자의 경우 소액이라도 저축을 하는 응답자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을 보고하였고, 저축의 여부 및 수준은 현재의 소비자행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부모들은 자신의 세대에서는 사회적 유동성이 매우 낮지만, 자녀 세대에는 사회적 유동성을 긍정적으로 기대하였는데, 이는 과도한 교육비지출의 원인을 보다 조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근거이다. 즉, 공정성이 낮은 사회에서의 불안감에 대한 소망적 대처행동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적 유동성-소비자행복의 관계는 교육불안, 저축불안을 매개로 자아복합성이 조절효과를 지닌다.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닌다. 이는 소비자의 자아복합성이 부정적인 사회현실에서 불안감을 완충함으로써 소비자행복을 지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응답자들의 가계소득과 학력수준은 교육불안을 예측하지 못하였고, 가계소득은 저축불안을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적 계층과 상관없이 교육에 대한 불안이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도한 교육비지출 현상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들을 포착함으로써 소비자행동 분야 연구자와 실무자, 그리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사회특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사회불안 자체가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에 맞서 자신의 행복을 지키기 위한 개인의 대응전략으로서 자아복합성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셋째, 변수들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결합한 통합적 연구방법으로 주제에 접근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수의 측정에 있어서 다양한 측정을 활용함으로써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이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또한 논의하였다.


Although consumers have shown huge amount of interests on happiness, Korean society is collectively suffering from various kinds of anxieties that are consistently undermining happiness. Especially, we focused on ‘edu-poor’ phenomenon which is the outcome of a societal level anxiety. Despite its importance of filling the gap between this phenomenon and theory, we can find few consumer research on excessive educational expense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two studies with an integrative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Study 1,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aningful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study 2, survey was performed with 317 respondents to extend the results of study1. Study 2 employed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to minimiz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obility perception affects positively consumer happiness. Respondents who reported low social mobility showed low level of happiness of life. Second, social mobility-happines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two aspects of social anxiety: one is based on education, the other is based on savings. Consumers who perceived their society as immobile, they felt higher level of educational anxiety and the anxiety about low savings rate, thus, these anxieties undermine consumer happiness. Considering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es, we can conclude that educational expense is based on anxiety and don’t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whereas savings anxiety is based on low level of savings. Third, self-complexity moderates social mobility-happiness relationship through two types of social anxieties. Fourth, consumers expect future social status of their children much higher than their ten year after statu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expense as a ‘wishful coping behavior’ against current anxiety. Fifth,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n educational anxiety, whereas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savings and decrease anxiety. This research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extended the results of past studies on consumer happiness by employing societal level factors; effects of social mobility and social anxiety. We also provided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nsumer behaviors that resulted in edu-poor phenomenon. This study suggested self-complexity as an individual strategy to enhance their happiness against social anxiety. Several methodological strength is also worth mentioning. We conducted two studies with an integrative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y doing so, we can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in a multilateral way. At the same time, we measured main factors such as social mobility and self-complexity with multiple measures to enhance internal validit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