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각장애어머니의 청각장애자녀 양육경험이 어떠한지 그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각장애어머니의 청각장애자녀 양육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청각장애어머니의 수어 진술을 오롯이 동영상에 담아 분석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택하고, 청각장애어머니의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적합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4명의 청각장애어머니와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의 7단계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어머니의 청각장애자녀 양육경험은 4개의 범주, 16개의 주제묶음, 71개의 주제들로 분석되었고, 이를 종합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에서 “가로막힌 현실너머로 희망의 동아줄을 구하는 청각장애어머니의 삶”이라는 대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청각장애어머니의 청각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substance of a hearing-impaired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on a hearing-impaired child. To achieve such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posed ‘how is the parenting experience of a hearing-impaired mother on a hearing-impaired child’ as the study problem. To address this, researcher chose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which analyzes the recorded video of a hearing-impaired mother who uses sign language only and moreover collects and analyzes data through the appropriate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substance of a hearing-impaired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four hearing-impaired moth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laizzi’s(1978) 7 procedures of analysis. This study found out 4 categories, 16 bundles of topics and 71 topics of hearing-impaired child parenting experience of a hearing-impaired mother. “A life of hearing-impaired mother who seeks the rope of hope from the beyond of blocked reality” was found as the core subject of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objects.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makes some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