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육사 출신 장교의 조기 전역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이들의 직업가치관을 분석하고 있다. 직업가치관은 개인이 직업에 대해 가지는 태도 및 신념체계로서, 직업의 선택, 만족, 이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가치관은 제도적 군대보다 직업적 군대에 적합한 유형이 도출될 것이다. 둘째, 육군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보다 외재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유형이 도출될 것이다. 관련연구가 부족한 것을 감안하여 탐색적인 연구에 주로 쓰이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4개의 Q 진술문과 29명의 연구 대상자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은 4가지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사회적 성취 추구형’이다. 응답자들은 직업을 통해 사회적 지위, 영향력, 존경을 받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에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진술문 등에는 동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은 ‘전문성 및 안정성 추구형’이다. 응답자들이 동의하는 진술문은 특정 업무에 대한 전문성, 업무를 통한 성취, 그리고 안정적인 삶과 관련된 것이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것과, 직업을 통해서 사회적 영향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자기 주도형’이다. 응답자들이 동의하는 진술문은 업무를 통한 성취감, 실용적인 업무, 자유재량권 등과 관련된 내용이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은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는 것,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네 번째 유형은 ‘보상 추구형’이다. 응답자들이 동의하는 진술문은 업무 평가의 공정성, 적절한 보상, 승진 기회 등과 관련된 내용이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은 업무 시간 이외에 근무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모두 기각한다. 즉, 응답자들의 직업가치관이 일반적인 다른 대상과의 직업가치관과 다소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직업적 군대로의 변화, 그리고 외재적 가치의 중요성 증가라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응답자들의 직업가치관을 설명할 수 없다. 현재 복무중인 장교에 대해 분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의 준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 가치관을 Q 방법론을 통해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작은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work values of army officers from Korea Military Academy as many of them are getting early discharges now days. The work value is an individual's attitude and belief structure towards occupation and influences people significantly when they are changing jobs. The following are the hypotheses referr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First, the officers who are discharged early have work values that are more suitable to occupational model then institutional model. Second, army officers who get discharged early have work values that attach great importance to extrinsic values than intrinsic values. Due to the lack of related studies, the study utilized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used in exploratory research. 34 Q statements were used and 29 respon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re are 4 types of work values. The first category is the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type." The respondents were showing an interest in attaining social position, influence and admiration. However, they did not agree to statement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The second category is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and stability type." The statements that the respondents agreed to were related to professionalism in specific work, achievement through task and stable living. On the other hand, the respondents did not agree to statement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and gaining social influence through occupation. The third category is the "self-directed type." The statements that the respondents concurred to were pertaining to achievement through work, practical tasks and discretionary power. Instead, the respondents contended with statements containing continuous service in one workplace and economic factors. The fourth category is the "seeking reward type." Respondents complied to statements concerned with fairness in performance review, adequate compensation and chances of promotion. On the contrary, they dissented to statements related to working outside office hours. The result rejects all the hypotheses that were set for this study. Which means, every responders' work value is rather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subjects. Thus, conventional phenomenons like the current military's trend of turning into a occupational model, and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extrinsic value cannot explain the results of responders' occupational value. Even though there is a limi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insufficient amount of analysis on officers who are currently in active service to compare, the research has a slight meaning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a future research by categorizing officers who are early discharged from the service with the Q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