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독일 ‘하르츠 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된 미니잡이 여성 고용에 미친 영향을탐색적으로 검토한다. 이론적으로는, 미니잡이 독일 여성들에게 ‘교량’ 역할을 함으로써 정규일자리로 진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지, 아니면 미니잡 시장에 여전히 보이지 않는 ‘벽’이존대하여 독일 노동시장이 분단되어 있는지 하는 점이 주요 관심사다. 독일 현장 방문을통해 직접 수집한 1차 및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미니잡의 여성 고용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분석한다. 분석 결과, 미니잡 시장이 여성들에게 고용 기회를 열어 주었고, 특히 경력 단절 여성이나학생 계층, 그리고 연금 생활자들에게 추가 수입의 기회를 준 것은 사실이나, 보다 세밀한검토 결과, 미니잡은 저임금 및 빈곤의 ‘덫’이 되기도 하며 특히 집단 노사관계 차원에서는산별 노조의 영향력이나 산별 협약의 구속력을 훼손할 가능성도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미니잡 고용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이행노동시장이론보다는 분단노동시장이론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실천적으로는 노동조합이나 노동평의회와 같은 노동자 이해대변 조직들이 미니잡 종사자들을 조직화할 필요성, 그리고 산별 협약의 적용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동시에 본 연구는, 독일 미니잡을 원형으로 한한국의 ‘시간 선택제’ 일자리는 중요 전제 조건들이 결여된 상태에서는 여성 노동시장 발전에긍정적 기여를 하기 어려움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empirically explores the impact of minijobs in the wake of the Hartz reform in Germany on women's employment relationship. Theoretically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examine whether the minijobs play an active role as a bridge in leading the minijobbers to regular, socially secured jobs or not. Several interviews as well as secondary data I could get during my sabbatical in 2015 were used to test the theory. One of the main findings was the fact that the minijob labor market opened doors wide for women in Germany, particularly for career-interrupted women, students or pensioners. However, the minijob can easily become a trap of lowest income and poverty for women. Most women minjobbers cannot go over to regular, socially secured jobs. Especially in terms of collective industrial relations, it considerably damages the power of industrial unions and the legal binding force of collective agre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makes it clear that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theory rather than the transitional labor market theory is valid in accounting for the reality of minijob in Germany. In other words, the minijob in Germany has a Toijan Horse Effect. It also suggests, from a practical viewpoint, that German industrial unions or works councils organize the minijobbers and that the coverage of collective agreements be extended to the minijobbers. Consequently, the time-selective part-timer model put into practice in Korea in 2014 is not only invalid but also undesi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