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교칙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초기 청소년이 경험한 부모(보호자)의 과잉간섭과 긍정적 교사관계를 이용하여 두 요인의 초기경험과 청소년의 교칙위반과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중학교 1학년 1∼6차년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측정시점에 따른 교칙위반의 변화와 초기 청소년 부모의 과잉간섭 및 긍정적 교사관계와 교칙위반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의 교칙위반은 1∼6차년도까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청소년이 경험한 긍정적 교사관계는 초기 교칙위반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이후의 교칙위반 감소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의 과잉간섭은 초기 교칙위반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기 긍정적 교사관계와 부적인 영향관계를 보이며 교칙위반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교칙위반의 종단적 감소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초기 청소년기 학교와 가족 체계에서 선생님과 부모(보호자)와의 긍정적 관계가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담당 기관 및 유관 정책을 바탕으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a violation of school rules in early adolescent and interaction of intrusive parenting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s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which i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the analysis data were integrated for the six years(2010-2015) and the case numbers of the used data were 1,888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dolescents breaching school regulations were decreasing linearly for six years. Second, students wh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a negative relation on violations of school rules. Third, intrusive parenting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violation directly, but it does have influence on violating the school rules longitudinally as well as on disturb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