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고시된 이후 새로운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한 준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 사항들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변화들을 교실 수업에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사항인 핵심개념 중심의 내용 체계화와 성취기준,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 학습량 적정화, 사회교과 역량의 타당성, 성취기준 그룹별(중단원별)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 및 유의사항의 도움 정도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간단한 의견 조사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토의 내용을 분석·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개념-주요 내용요소-기능-성취기준-교수․학습-평가는 대체적으로 연계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교과 역량에 대해서도 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학습량 적정화와 성취기준 그룹별(중단원별)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 및 유의사항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운영의 도움을 위해 교사들은 구체적인 관련 자료집을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특히 창의적 사고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역사영역의 인물 및 문화사 중심의 수업과 평가 자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참여 중심의 수업으로 인하여 학생의 입장에서 학습량이 과다해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Aft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d been confirmed and announced, preparations were underway to apply the new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erceive the changes in the 2015 revis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what is needed to implement these changes in classroom instruc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6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t summarized the discussion contents of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thought that core concepts-main content elements-functions–achievement standards-teaching and learning-evaluation were largely linked, the social studies competencies were generally valid, and the amount of learning was adequate. Secondly,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but they were worried about the actual operational situation in the classroom. Third, teachers said that they needed concrete teaching and evaluation materials centered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historical figures and culture.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at the amount of learning can be excessive due to the student-centered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