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및 국내․외에서 편찬될한국어 교재에 실릴 ‘표준 외래어 목록’선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출판한 한국어 교재와 여러 연구자들이 제시한 어휘 자료를 분석하고, 통계 처리하여 학습자의 단계별 수준에 맞춰 표준화된 외래어 목록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문목적 학습자’나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등다양한 학습 대상을 위한 교육과정이 설계되고, 교재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어 교재에 수록할 외래어를 선별하는 명확한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과정 설계나, 교재 개발에 있어서 ‘표준 외래어 목록’선정을 위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목표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고자 핵심적인 연구내용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표준화된 어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 분석이다. 국내․외에서편찬된 특정 시기의 교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재에 수록된 외래어를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통해 목록 작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국외 교재 중 상당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교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국내․외에서 편찬한 한국어 교재에 기반을 둔 표준 외래어 목록을 만드는 데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재를 비롯한 연구 논문, 보고서 등의 기초 조사를 마무리하고 분석한자료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외래어 목록을 위한 DB 구축 작업을 하였다. 교재별외래어 빈도를 조사하고, 구축한 DB를 활용하면 몇 가지 기준을 근거로 자료에수록된 외래어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표준화된 외래어 목록에 담긴 외래어를 검증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교재를 통해 산출된 결과가 실제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통용되고 있는지 확인하여실생활에 필요한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연구 목표와 연구 내용을 수립하기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인 자료 수집은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내․외 (중국과 일본)에서 편찬된 한국어 교재를 수준별, 목적별로 수집하여 분류하되 사전 조사를통해 목록화한 교재를 중심으로 수집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첫 번째 단계에서 수집한 국내․외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외래어를 시기별, 나라별, 수준별로 나누어 분석한다. 먼저 국내에서 편찬된 한국어 교재를 수준별로 정리하고, 국외에서 편찬된 한국어 교재는 중국과 일본 순서로 분석한다. 분석 및 정리는 각 교재에 수록된 외래어의 종류, 의미, 표기, 발음 순서로 진행하고, 수준별․국가별로 비교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두 번째 단계에서 국내․외 한국어 교재를 시기별, 나라별, 수준별로 분석 정리한 자료를 DB로 구축한다. 앞서 연구 내용에서 예시로 제시한 바와 같이 목록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준을 정립하고, 기준에 따라 분석한 내용을 DB로 구축해 자료를 구조화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빈도와 난이도, 사용 범위 등을 고려해 한국어 학습에 적합한 표준 외래어 목록의 초안을 작성한다. 이 목록에는 국내의 한국어교재, 국외의 한국어교재, 선행 연구 결과 등이 모두 포함된 DB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loanwor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by building basic data for selecting 'a standardized loanword list'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is study,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listed vocabulary materials were analyzed and statically processed to provide a standardized loanword list, which fits each stage and level of learners. Though curriculums for various learners lik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married immigrant women' and 'immigrant workers' have been designed and related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there has been no precise research on the criteria to select loanwords in teaching materials, yet. To design a curriculum of loanword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s, research on selection of 'a standardized loanwords list' must be conducted. In order to approach this research purpose effectively, key research contents we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basic data analysis is required for drawing up a standardized vocabulary list. This study is targeted at domestic and overseas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at certain times, Analyzing and organizing loanwords in teaching materials helps in building basic data to draw up a list.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Chinese and Japanese teaching materials that occupy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overseas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drawing up a standardized loanword list, which is not restricted to the country. Second, once a basic study including a research paper and a report is finished, a DB for a standardized loanword lis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data analyzed. Aspects of loanwords in teaching materials can be analyzed, based on some criteria by examining the frequency of loanwords in each teaching material and using the DB constructed. Third, loanwords in a standardized loanword list are verified. This is to draw up a list necessary in daily life by examining how much the loanwords in teaching materials are used in Korean society, actually. For establishing the research purpose and contents, a discuss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following methods. The first stage is data gathering. This is to gather domestic and overseas(Chinese and Japanes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focusing on those that were listed in the preliminary study and to classify them by level and purpose. So far, listing and collecting domestic teaching materials has been partially completed and a collected list of Chinese and Japanese teaching materials is being drawn up. Especially in the first stage, 'a study on the needs of learners' is conducted together, as stated in th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are revised or supplemented, prior to the main survey. The second stage is to analyze loanwords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that were collected in the first stage, by time, country and level. First, domestic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organized by level and overseas(Chinese and Japanes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analyzed in order. The kinds of loanwords, meanings, orthographies and pronunciations in each teaching material are analyzed and organized in order and they are compared by level and country. The third stage is to construct a DB, based on the data of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which we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ime, country and level. As shown in the example above, a standard for drawing up a list is established and data are structured, based on the DB of the analysis results. The last stage is to draft a standardized loanword list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frequency, difficulty and range of use. This list is based on the DB, which includes all of domestic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overseas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needs of learners' conducted in the first stage are reflected in the list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