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현재 대학의 한문교육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로 ‘대학한문교육입문’ 교재 편찬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그 방향과 구성에 대해 논한 것이다. ‘대학한문교육입문’의 성격은 “전문가들이 집필하고 규범성을 갖추며, 한문교육과 학부 강의 및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교재로, 그 구성은 ‘이론’과 ‘詩文選’의 유기적인 체제를 지닌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 교재가 기존의 교재와 다른 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교수자 중심의 강독 교재 성격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학습을 적극 고려한다는 것, 둘째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의 기본이수과목에 충실한다는 것, 셋째 이론과 실제(즉 詩文選)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대학한문교육입문’의 목차를 이론 부문과 詩文選 부문으로 나누어 각각 제시하였으며, 이론 부문 중 ‘문법-도치’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구안하였다. ‘대학한문교육입문’ 편찬 관련해서 추가 논의할 사항이 적지 않고, 또 다양한 관련 교재 편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본고의 논의가 학계의 공론을 형성하는데 일정한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the current colleg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is paper insists on the necessity of publishing the textbook tentatively named “Introduction to Colleg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discusses its direction and constituent. This textbook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it would not only be written by professionals in the field, have a certain norms, but also be available at undergraduate lectures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t needs to have an organic structure between the theoretical section and the poetry/prose selection section in its constituent. This textbook mainly differs from the existing textbooks in three ways. Firstly, it actively pursues not the teacher centered, reading material publication, but the learner-centered, self-directed learning textbook publication. Secondly, the textbook is faithful to the basic required courses in the Classic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irdly, it consider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i.e. a selection of poetry and prose). In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textbook, we divide the theoretical section and the poetry/prose selection section. In the ‘grammar’ part under the theoretical section, we devise the concrete contents of ‘invers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still remains additional matters surrounding its publication. I hope that this discussion could provide a certain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academic public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