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는필자의 자료 통합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글쓰기의 성패를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 경로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 라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참여자 490명을 대상으로 ①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최초 과제 인식, 독자 인식), ② 학습 자료의 선택(출처와 내용 식별, 상호텍스트적 관련, 응집적 표상 구축), ③ 학습 결과물의 점검(새로운 표상에 대한 반응, 분량 제약의 처리), ④ 글쓰기 결과물 수준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과 “학습 자료의 선택”은 글쓰기 결과물 수준에 직접효과를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 결과물의 점검”은 “학습 자료의 선택”을 매개하여 글쓰기 결과물 수준에 간접효과를 미쳤다.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은 글쓰기 결과물 수준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검증된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hypothesized model that specified direct and indirect linkages between (1) the information needsperceiving variables of initial task representation and audience awareness; (2) the relevant materials-selecting variables of identifying sources and contents, represen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s, and constructing a coherent representation; (3) the products-monitoring variables of responding new representations and processing across the writing amount restriction; and (4) the writing qualit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pproach with a sample of 490 highschool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needs and selection of relevant materials predicted their writing quality, with the productmonitoring indirectly affecting the writing quality through its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relevant materials. In addition, stud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needs affect their writing quality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Both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