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 사회의 일-생활 균형과 가족친화경영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조직은 다양한 가족친화제도의 도입을 통해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의 도입과 제도의 활용은 서로 다른 차원이라는 데 주목하여 가족친화제도를 활용하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업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에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127개 기업과 그 기업에 다니는 근로자 1,006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수준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인증기업은 근로자들의 필요에 따라 출산・육아지원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 운영을 하고 있다. 둘째, 가족친화인증기업은 기업의 실익과 근로자의 요구를 절충하는 선에서 자녀가 있는 근로자들이 유연근무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셋째, 일 중심적이고 경직된 조직의 정시퇴근제 활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앞으로 가족친화인증기업은 가족친화제도가 활용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며, 여성의 일-가정 양립 뿐 아니라 근로자 전체의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는 보편적인 제도의 개발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ompanies introducing work/life balance programs has increased. However, the actual usage of the program is not high, an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usage among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1006 employees in 127 companies which certified as family friendly company from government.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employee’s use of maternity/parental leave program, flexible work program and 'leaving work on time' program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We adopted the HLM to separate the group level variances and individual level varianc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the 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woman who had the child was significant to use the maternity/parental leave program. The on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 use of flexible work programs was the presence of children. On the other hand, cognitive factors such as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and work centrality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leaving work on time' program.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leaving work on time' programs, and there wer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an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