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채만식의 탐정소설 『염마』를 도시공간의 형태에 기초해 분석했다. 지금까지 『염마』를 비롯한 식민지시기 탐정소설은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것으로평가되었다. 즉 근대성이 성립되지 못한 당대 조선에서, 탐정소설의 형식은 수입했으나 그 성취가 미약했던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염마』가 그리고 있는 경성의 모습은 해외 탐정소설에 나타나는 도시를 모방한 것으로 실제라기보다는상상적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선행연구를 두 가지 차원에서 반성하고자 했다. 우선 채만식이 근대적 도시공간의 형태를 활용해 탐정의 행동을 연출하고 있음을 보이고자했다. 즉 미로와 고도, 지하라는 세 가지 형태를 통해 탐정의 조사를 요구하거나, 조력하고, 혹은 방해하는 모습을 찾아내어 분석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염마』에 등장하고 있는 주요한 장소들의 근대적 맥락을 확인했다. 채만식은 경성에서 근대적 변화가 가장 첨예하게 이루어졌던 곳을 서사의 주요 무대로 삼았다. 이를 읽어냄으로써, 『염마』가 다루는 도시가 다만 환상이 아니라 실제 역사적 기억과 원망이 담겨있는 공간임을 드러내겠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hae, Man-sik’s detective story The Charming Demon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spatial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detective stories including The Charming Demon were considered as having insufficient quality. In Colonial Joseon, where the modern civilization was not fully established, the form of detective stories was adopted, but it was recognized that the achievement was minimal. Also, the depiction of the urban space of The Charming Demon was perceived as representation of Western cities rather than the Gyeong-seong itself. This essay attempts to criticize these previous studies in two perspectives. First of all, this study suggests that Chae uses the form of urban space to create actions of detecting. In other words, three symbolic forms of unban space namely maze, high altitude, and underground will be discovered as the key-points of plot making. Secondly, this essay identifies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spatial settings. In The Charming Demon, the spatial setting of most dramatic scenes is set in the places where the deconstruction of modernization is profoundly taken place. By reading these clues, this study will show the fact that the represented city in The Charming Demon is not merely an imagined phantasm, but a space of real historical mem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