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기초월이 중년기 성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자기수용과 자기고양과의 관계를 함께 다루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5세-65세의 중년기 성인 남녀 316명을 대상으로 자기고양 편향, 자기초월, 자기수용 척도,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수용은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기초월은 자기수용을 통제한 후에도 중년기 성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지각된 건강상태와 경제수준을 통제하였을 때 자기초월과 자기고양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에는 자기초월이 자기고양에 비해 더 높은 설명력을 제공해주는 반면, 심리적 안녕감에는 자기고양이 더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세부 지표에 대하여 자기초월과 자기고양 양상의 차이를 비교해보았을 때, 자기초월이 높고 자기고양이 낮은 집단은 개인적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초월이 낮고 자기고양이 높은 집단은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초월이 중년기 성인의 행복에 고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초월과 자기고양이 나이가 들어서도 행복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self-transcendence and self-enhancement on the well-being of 316 middle-aged adults aged 45 to 65. The Self-Transcendence Scale(ASTI),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 Concise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and Ryff’s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dminister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elf-transcendence is positively related to well-being even after controlling for self-acceptance.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self-transcendence and self-enhancement are both associated with greater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draw a comparison between two psychological variables on each of the well-being indicators, we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the high self-transcendence, low self-enhancement group and the low self-transcendence, high self-enhancement group for an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 self-transcendence, low self-enhancement group is relatively higher in the personal aspect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feelings, whereas the low self-transcendence, high self-enhancement group is higher in positive relationship. The findings reveal that self-transcendence contributes to additional happiness beyond self-acceptance. Moreover, self-transcendence and self-enhancement are both promoting variables that may enhance different aspects of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