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울 경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Mindful Lovingkindness Compassion Program: MLCP)이 우울 및 관련 변인 개선에 도움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 지역 대학생 1,081명을 대상으로, 우울 질문지(CES-D)를 실시하였다. CES-D를토대로 우울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들을 선별하였고, 이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34명을 프로그램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 할당하였다. MLCP는 Gilbert의 자비중심치료에 기반한 것으로, 주로마음챙김 훈련과 자비심상 훈련으로 구성된 구성되어 있다. 처치집단은 8회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처치 없는 대기 통제 집단이었다. 이들 모두, 사전, 사후 우울, 반추, 마음챙김, 자기자비, 사회적 유대감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처치 집단은 한 달 후까지추적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처치 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의 MLCP 처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처치 집단의 사후- 추적 대응표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우울과반추는 더 감소하였고 마음챙김, 자비 및 사회적 유대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 참여 후 한 달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indful Lovingkindness-Compassion Program(MLCP) on depression, ruminatio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social connectedness in students prone to depression. The total of 1,081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CES-D. Finally, 34 students who got over 19 points in CES-D were selec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MLCP) composed of 8 sessions or the control group. To identify the effect of MLCP, pre- and post data was analyzed using ANOVA, and paired  test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sustaining effect of MLC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rumination, and an increase in mindfulness, compassion, and social connectednes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effect of MLCP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intained at the follow-up assessment 4 weeks late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