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들어 데이터는 양적인 대용량화와 질적인 변화를 겪으면서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 데이터의 혁명이나 21세기의 원유와 같은 긍정적인 비유에서부터 정보비만과 같이 부정적인 표현에 이르기까지,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대용량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유통될 뿐 아니라 분석의 결과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 글은 최근에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활용과 보호가 충돌하는 원인을 여러 시각에서 분석한 후 양자의 균형적 관점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활용을 위한 방안, 관련 제도나 정책 등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한 뒤에 각 유형별로 데이터 활용의 내용과 사례를 제시한다. 활용사례를 통해 데이터의 종류와 내용, 그리고 활용의 효과 및 범위, 활용과정에서 제기되는 주요 이슈들을 분석한다. 이는 활용과 보호의 균형적 관계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이나 관련 제도 등을 도출하는 데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In so-called data economy era, huge amount of data are generated in multiple ways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But traditionally and currently as well, personal data have been the target of protection against illegal data disclosure and fraud, which drives more attention to ‘protection’ rather than ‘utilization’ especially in Korea. However concern for data protection does not justify accumulating-but-not-utilizing personal data. Data should not be generated and existent in order to be protected. They have value when they are used, not when they are accumulated without doing anything with them. After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data usage, this paper analyz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flicts happening between data usage and data protection, and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s with balanced perspectives between those two issues. For doing this, the study presents types of personal data with multiple criteria and suggests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data usages in each category of the typology. Cases show what kind of data can be used?, what are sectors and impacts of data-usage?, and what are significant issues raised in the process of data-u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