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연결적인 의사소통 환경에서, 사회적연결망(SNS) 사용자는 자신의 SNS를 광고하고 더 좋은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하여 종종 매우 과시적으로 SNS를 소비하기도 한다. SNS 사용자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지불할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과시적인 사회적 관계를 위하여 과잉 투입을 통한 과시적 SNS 소비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과시적 SNS 소비를 위한 초과 지불 행위는 SNS 피로를 증가시키게 된다. SNS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왜 SNS 사용자가 과도하게 SNS를 사용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믈런의 과시적 소비 이론을 활용하여, 과시적 소비 성향과 경쟁심을 과시적 SNS 사용의 원인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시적 SNS 사용은 SNS 피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된 자료는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총 342명의 SNS 사용자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과시적 소비 성향과 경쟁심이 과시적 SNS 사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시적 SNS 사용은 SNS 피로도의 주요한 영향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공헌은 베믈런의 과시적 소비 이론을 활용하여 SNS 사용자들이 과시적 SNS 사용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한 것이다.


In hyper-connec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user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often consume highly conspicuous SNSs in order to advertise their SNSs, thereby achieving greater social status. SNSs users have a willingness to pay a higher time and effort for making social relationships and then engage in conspicuous consumption of SNSs by overpaying for conspicuous social relationships. These overpayment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SNSs may cause SNSs fatigue. As SNSs have rapidly grown, there has been little attempts to examine why individuals continue to overuse SNSs even though they have felt regret on using it. Using Veblen’s conspicuous consumption theory as the overarching theory, this study regards both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nd competitiveness as antecedents of conspicuous SNSs consumption. This study also regards conspicuous SNSs consumption as an determinant SNSs fatigu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342 individuals through online surveys. The results show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has significant impacts on conspicuous SNSs consumption. Competitivenes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picuous SNSs consumption. Then, conspicuous SNSs consump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NSs fatigue. The contribution for research is that it develops and tests a integrative model of understanding conspicuous SNSs use by employing Veblen’s conspicuous consumption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