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인성’에 관한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여러 가지 병리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실상 과거의 우리 교육은 가시적인 성과 위주와 지식 위주의 몰입교육으로서 그 한계점이 있었다. 즉 참다운 인간을 기르기 위한 교육과정은 아니다. 따라서 그 대안을 우리 전통교육에서 찾아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특히 율곡의 『격몽요결』은 오늘날 우리 교육에 적용 가능한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격몽요결』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입지(立志)’는 인간의 삶을 지속하기 위한 본질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즉 뜻을 세우기 위해서는 동기 부여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것이야 말로 실패와 좌절을 마주했을 때 탄력적으로 회복가능한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요소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의 교육문제에서도 가장 핵심가치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있어 동기부여 과정은 필수이다. 이렇듯 『격몽요결』에서 율곡은 초학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로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뜻을 세우고, 그 일에 최선을 다하며 스스로를 반성하는 성찰의 과정이라고 역설한다. 따라서 오늘날 인성교육의 핵심가치와 방향을 설정하고자 할 때 『격몽요결』에 나타난 전통 교육원리는 인성교육의 토대 마련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tter of ‘character’ that recently has become a social discussion topic is being pointed out as the reason for different social ills prevalent in the Korean society. Actually, education in Korea in the past has its limits as immersion education centered on tangible outcome and knowledge. That is, it is not the curriculum to raise true humans. Therefore, it would be very meaningful to find alternatives i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and analyze them. In particular, Yulgok's <Gyeokmongyogyeol> included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oday's education in Korea. For example, 'Ipji(立志)’, what is most emphasized in <Gyeokmongyogyeol>, can be an essential educational method to maintain human life. In other words, in order to set an aim in life, the process of motivation is necessary, and this is the very factor that can be the driving force to recover flexibly from failure and frustration. It will be able to play its role as a key value for today's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For the children who don't know the reason to study, the process of motivation is a must. In this way, in <Gyeokmongyogyeol>, Yulgok stressed that as for the attitude for a novice scholar to have, one should set an aim at what one is going to do, do one's best at the work, and reflect oneself as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Therefore, when the core values and methods of today's character education are to be establishe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principles in <Gyeokmongyogyeol> will be able to be an alternative to set the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