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놀이 이론을 담고있는 『철학적 탐구』를 통하여 기독교의 진술인 부활을 어떻게 여겨야 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언어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개념의 공유다. 하지만 표준 예의 적용으로 말미암아 신학자들은 그 어떤 사태를 해석함에 있어서 영향을 받았다. 이와 같은 신학은 언어의 혼란을 가중화함으로써 사고(思考) 에도 혼란을 가중화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주장한 “문법으로서의 신학”에 따르면, 신학의 언어에도 개념의 공유가 필요하다. 그래야 언어놀이를 정상적으로 할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학자들은 부활에 대한 증언을 이성적 판단에 의해 판별함으로써 언어의 혼란을 가중 화 했다.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 철학 논고』대로 하면 부활은 체험될 수도 없고, 말해질 수도 없다. 그리고 신학자들의 표준 예(paradigm) 적용은 현대인들의인식에 적합한 자연과학적 사고나 환원가능성의 공리 그리고 통계적 사고, 역사적 해석 등을 고려함으로써 성경에 나타난 ‘부활’이라는 말을 혼란하게 했다. 그래서 언어의 혼란을 가중화한 신학적 진술들은 사고의 혼란을 가져온다. 그래서 이는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문법으로서의 신학을 훼손한다. 기독교의 진술인 육의 부활은 경험자들의 진술에 의한 증언들로써 그 유형은 심리적이거나 사적(私的)인 말들이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에 의하면, 그와 같은 주장들은 이해될 수도 없고, 언어로 표현될 수도 없다. 결국 그것은 심리적 발성(發聲), 즉 소리이다. 그래서 이는 언어가 아니다. 따라서육의 부활이라든가, 영의 몸으로의 부활은 언어의 영역이 아니라 신비(神秘)의 세계이며, 신앙(信仰)의 세계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we think of the resurrection, the Christian statement, through Philosophishe Untersucbungen that includes L. Wittgenstein's language game theory. The important thing in a language is the sharing of concept. But in consequence of on application of paradigm, theologists are influenced in interpreting the a situation. The theology was weighted the confusion of thinking through weighting the confusion of the language. With regard to ‘theology as grammar’ L. Wittgenstein asserted, theological language is also in need of concept share. And then we can play language game ordinarily. But theologists weighted the confusion of the language as judging the resurrection in the Bible by rational judgment. According to L.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 Philosophicus, the resurrection can't be experienced, nor to be said. As theologists applying paradigm, it leads to confusion on the meaning of resurrection in the Bible, because of the perception of modern human being: scientific thinking or axiom of reducibility and statistical thinking and historical thinking, and so on. Therefore theological writings bring upon the confusion of thinking caused by the confusion of language. It is also damage ‘theology as the grammar’ spoken by L. Wittgenstein. The Christian Doctrine a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s private words on the testimony through the statement by the experienced. The typology is psychological or personal words. According to L. Wittgenstein's Philosophishe Untersucbungen, the allegations can't be understood nor expressed in language. In conclusion, it is psychological vocalization, namely voice. It is not language. In other word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or the soul is not the territory of the language but world of religious faith as well as mys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