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파주 향양리에 있는 성혼선생묘역에는 청송 성수침과 우계 성혼의 묘와 신도비가 있다. 성수침은 파산에 은거하면서 아들 성혼에게 은일거사의 처신과 학문적 영감을 준 사람으로 그의 죽음에는 당대 최고의 명망있는 성리학자들이 이름을 남기게 된다. 그의 지문은 고봉 기대승이 찬술했고, 행장은 율곡 이이가 지었으며 묘갈은 퇴계 이황이 직접 짓고 적었다. 이들은 평소 성수침의 지조와 절의, 학문적 성과를 높이 평가해 흠모해 왔던 학자들로서 그의 죽음을 통해 대학자들의 결집이 이뤄졌다. 무엇보다도 이황은 묘갈문을 평소 공기(公器)라 생각해 지인에게조차 신중하고 사양해 왔기에 현존하는 그의 비지문은 많지 않다. 또한 묘갈음기에는 이 비를 가리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써 시말을 대자로 새기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는 것을 보면 당대에도 희귀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성수침과 성혼의 묘역조성과정을 살펴보면 정치․사회․문화사적인 요소가 묘역 곳곳에 담겨있다. 특히 성혼의 조부 사숙공 성세순의 묘를 중심으로 하여 주자가례의 기본을 지키고, 부친 성수침, 숙부 성수종의 묘는 효의 상징으로 삼았으며, 주자가례와 풍수상의 이유로 성혼의 부인이 장좌리에 따로 장지를 정한 것은 성리학적 전통과 풍수적 요소의 결합이라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성수침의 묘갈문과 성혼의 신도비는 묘역과 더불어 그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가 재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곳에 건립된 우계기념관은 그의 삶과 행적은 반영했지만 묘역과 서원연구는 충분히 보여주지 못하고 있어 추후 콘텐츠의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묘역이 죽음에 관계되는 것이라면 삶과 관계되는 것은 성수침, 성혼의 생가와 서실이 있던 파산서원이다. 파산서원은 1871년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은 신미존치47개 서원에 해당된다. 파산서원은 이러한 명성과 달리 사우를 중심으로 한 조그만 서원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1933년 동아일보 사진이 발굴됨으로써 우계천을 마주한 강학공간이 중심이며 유식, 강학, 제향공간의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른 바 좌학우묘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간 연구가 미진한 우계묘역의 비문과 석물의 해석을 통하여 묘소조성과정의 역사적인 사실과 상호연관성을 확인함은 물론 성수침과 성혼의 도학자적 면모를 죽음 관련 공간을 통해 음미할 수 있음은 이 묘역이 가지는 특징이랄 수 있다. 더구나 그가 삶의 대부분을 보낸 파산서원 사진의 발굴은 기존의 가치를 뛰어넘는 도학의 산실로서의 위상을 재평가할 수 있어 향후 연구결과가 반영된 우계기념관의 실내 공간 재구성이 필요하다.


There are tombs and memorial stones of Ugye Seong Hon and his father Chungsong Sung Soo Chim in the area of Ugye’s tomb located in Hyangyang-ri, Paju. Chungsong spent in retirement in Pasan and provided inspiration for behaviors and academics to his son, Ugye. In his death, the most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of the age left their names behind in history. His tomb statement was composed by Gobong Ki Dae Seung, his biography records was written by Yulgok Yi I, and the tombstone and its statement was made and written by Toegye Yi Hwang. As they were renowned scholars who highly admired his belief, principle, and academic achievements, his death can be considered as an assemblage of the great scholars indeed. There are not many epitaphs in existence written by Toegye Yi Hwang because he was careful in writing of the tombstone statement as well as he considered it as a government service and refused politely even to his acquaintance. As it turned out to be written big characters from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tatement on the back of the tombstone due to difficulties finding any parallel in history, it tells how important it is now as what they used to be. In the shaping process of Chungsong and Ugye’s tombs, it is easily seen that the tombs are composed of element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al history.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Ugye’s grandfather, Sa Sook Gong, the burial system was established and his father, Sung Soo Chim’s and his uncle, Sung Soo Jong’s tombs remained a symbol of filial piety and by burying his wife separately at Jangjwa-ri for the purpose of confucian ritualism and geomancy, it is deemed as a combination of Confucian tradition and topographical factor. In this sense, along with the tomb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for Chungsong’s tombstone statement and Ugye’s memorial stone should be reconsidered. Although Woogye Memorial in here reflect the spirit and lifetime, the researches of a grave and lecture hall are not enough until now. In the future they needs to be complemented. If the tomb is related to the death, what related to the life are Chungsong and Ugye’s birthplace and Pasan Seowon where a library was placed. Pasan Seowon is one of the 47 academies maintained their existence against the law of demolishing academies in 1871. Not long ago, Pasan Seowon has been recognized as a small sized academy with a shrine centered around, even though it has such renown. However, by a startling disclosure of the picture published in DongA Ilbo, it found out to be a structure formed of relaxation, educating, and religious spaces with a center of the education space facing Ugye stream. In other words, it has a structure of education on the left and shrine on the right. Therefore, not only does the study allow verifying the correlations and historical facts of the tomb shaping process through a construe of Ugye tomb’s epitaph and stone figures, it also allows appreciating the features of tombs by learning Chungsong and Ugye’s study through the space of death. Moreover, the modern picture of Pasan Seowon where he spent most of his time will enable the status to be reevaluated as a creature of moral philosophy beyond the current value. Therefore Woogye Memorial needs to include outcome of study through the interior space redesig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hungsong Sung Soo Chim/ Ugye Seong Hon/ Toegye Yi Hwang/ tombstone statement/ Woogye Memorial Hall/ Pasan Seowon (a lecture hall and shr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