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four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ssurance, readiness, independence, determinism), an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on academic self-efficacy. 133 colleg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 Academic Self- Efficacy Scale and a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were collected for the dat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le students’ score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ssurance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scores for readiness increased with school year.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four subscal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onfidence, readiness, and gend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g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cademic or career-related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 4가지 하위요인(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결정성)의 관계를 탐색하고,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변인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이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의 한대학의 133명 학생이 참여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검사(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과 진로태도성숙도검사(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의 확신성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는 준비성에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준비성이 높아지는경향성을 나타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도의 4개 하위변인과 모두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을 했을 때, 확신성, 준비도, 그리고 성별이 학업적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측면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 교육을 하는 데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