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가 희망을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1명(남 106명, 여 205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희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이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희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스트레스가 희망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for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rough hope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hope has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different level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For this purpose, 311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on the basis of measuring the following factors: job-seeking stress, hop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hop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job-seek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determined to regulate the effect of hop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it was concluded that, by using hope as a medium paramet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is significant a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djus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job-seeking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ing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