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남도의 대표적인 향토시인, 또는 남도시인으로 평가되는 송수권 시의 중심적인 상징이 지닌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송수권의 시는 그 자신이 태어난 고장의자연환경과 그 속에서 어우러지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관심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흔히 ‘남도’로 지칭되는 전라도의 자연, 그리고 전라도 사람들의 삶이 송수권 시의본바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송수권의 시에서 남도 정신은 남도의 대표적인자연풍광을 이루는 자연사물을 통해서 표현된다. 황토, 대, 뻘이 그것으로, 이 사물들은 각기 남도의 환경과 특징적인 풍광을 구성할 뿐 아니라, 수 만년 동안 남도인의 삶과 깊은 관련을 맺어 왔다. 송수권의 시에서는 이 사물들과 그것들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환경이나 풍광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고 있다. 그리고 남도의 독특한 자연 환경과 풍광에 이지적 분위기를 더해주는 그늘 또한 황토, 대, 뻘의 사물과 함께 송수권시의 중심적 상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송수권 시의 중심 상징-황토, 대, 뻘, 그리고 그늘-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송수권의 이러한 시적 상징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명확하게 이루어진 적이 없고, 그 결과 그의 시 세계와 시 정신에 대한 논의 역시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물론 송수권은 자신의 시를 떠받치고 있는 세 가지 상징물이 지닌 의미를 ‘물둑정신’ ‘개땅쇠 정신’ 그리고 ‘안땅 정신’ 등으로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설명 역시 대단히 모호하고 의미들이 중첩되는 불투명한 것이어서 송수권의 시적 상징물이 지닌 상징성을 이해하는 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히 남도의 풍광과 자연물, 그리고 그것들이 남도인의 삶 속에서 발휘되는 의미에 대해 생소한사람들에게는 더더욱 그렇다. 이 논문에서는 송수권 시의 핵심 상징인 황토, 대, 뻘을 각각 신화적, 역사․문화적, 지형학적 문맥에 비추어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황토의 상징적 의미는 ‘삶의 정화와 치유능력’을, 대는 ‘강인한 저항정신과 유려한 성품’을, 뻘은 ’생의 포용력과 생명력‘을, 그리고 그늘은 이 세 상징과 두루 관련되거나 포용하는 것으로서 ’은근함과 유유자적 에둘러갈 줄 아는 지혜로운 삶’을 각각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이런 상징적 의미는 각각의 사물이 지닌 물질적 속성 그리고, 사물이 남도인의 삶과 역사에서 차지해온 역할과 의미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적 상징에 대한 연구는 송수권이 표현한 남도정서 혹은, 남도정신이 단순한수사적 표현이 아니라 남도의 환경적 특성, 남도인의 삶과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통찰에 근거한 것임을 이해하고 그것들이 각각의 시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is a significant study on the symbols of southern sentiment, 'bamboo', 'mud flat', and 'red clay', used by Soo-kwon Song, the representative rural poet of southern province. So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pecific meanings connoted in the three symbols that were used by Song and academically organize them. Song said that the sentiment of the southern province can be summarized as the spirit of the three symbols mentioned above. Therefore, a significant study on the meaning of the three symbols will includes Song's ideas about literature that he pursued his whole life and, though limitedly, the sentiment of southern people. To this end,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chose the research method of finding the meanings of symbols through Song's literary works, lectures, and books. As a result, it found that 'bamboo', 'mud flat', and 'red clay' respectively signifies 'the strong pioneering spirit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persistence that embraces life and untiring vitality', and 'purification of life and the capacity to regenerate'. Along with the meanings of the three symbols, by adding the feeling of 'shade' that involves the life of 'subtlety and the idea, to bend is to be whole' that were mentioned frequently as idealogical symbols, this study tried to broadly examine the poet's sentiment. This was an effort to clarify and organize what has only been discussed as symbolic concepts in previous studies and literary critiques. By doing so, it is expected to expand horizons to understand the sentiment of southern people and the literature of Soo-kwon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