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Globally Cambodia has been one of leading countries for the garment manufacturing industry since early 1990s. Foreign investors for garment factories of Cambodia were able to maximize the profit through very low wages, unpaid overtime labor, unsafe & unhealthy working environment. So the key source of cost leadership for Cambodian garment makers was closely concerned with the notorious working condition of Cambodia. This study accessed the labor practices change of Cambodia with the impact of the external mechanism like the bilateral trade treaty with the US government (UCBTA). This study divided the labor practices trend of Cambodian garment industry into three periods; pre-UCBTA period, during UCBTA period and post UCBTA period, and picked out major features of each period. Also the working condition reform of Cambodia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ype. This study accessed the limitation of labor practices reform of Cambodia through the interest dynamic among three stakeholders of the garment producers, that is Cambodian government, local employee, global garment buyers. In result, the tacit collusion and interest sharing structure between Cambodian government and the garment factory owners has worked as a big barrier of labor practices reform.


1990년대 초반부터 캄보디아는 세계 의류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국가로 부상하였다. 특히 캄보디아에 의류 제조공장을 설립한 해외 투자자들은 현지 근로자들에 대한 낮은 임금과 초과 근무와 강제 노동, 위험하고 열악한 작업 환경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캄보디아 의류 제조업체들의 비용절감과가격 경쟁력은 국제적으로 악명이 높았던 열악한 노동관행과 관련이 깊다. 이에 본 연구는 캄보디아 노동관행의변화를 외부 메커니즘의 충격으로 인한 변화, 즉 미국 정부와 캄보디아 정부간 의류산업 무역협정(UCBTA)이캄보디아 노동관행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의류산업 노동관행 추이를 미국정부와 무역협정(UCBTA) 체결 시기를 기점으로 세 개 시기로 분류하였고, 각 시기별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유형 측면에서 캄보디아 의류산업의 노동관행 개혁을 분석하였다. 특히 캄보디아 의류 제조업체의 이해관계자 모델의 변화, 즉, 캄보디아 정부와 현지 근로자, 세계적인 의류 구매업체간 이해관계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캄보디아 노동관행 개혁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결국 캄보디아 정부와 의류제조업체간 암묵적 담합 및 이해관계의 공유가 캄보디아 노동관행 개혁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