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이론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적․외적 대처자원인 정서조절과 가족친밀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유령변수(phantom variable)를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경로별 통계적 유의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청소년이라 구분할 수 있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총 6245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가지며, 정서조절과 가족친밀도는 생활만족도에 각각의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가족친밀도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따른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rect effects of adolescents’daily stress and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and family intimacy on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Lazarus and Folkman's transactional theory of stress and coping. For testing, and comparing specific indirect effects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family intimacy, we introduces the phantom model approach with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study uses data for the 2013 Child / Adolescent Mental Health Improvement Study which collected by the NYPI Youth and Children Data Arch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of adolescent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emotion regulation and family intimac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emotion regulation and family intimacy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using the phantom model approac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and family intimac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