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중산층 감소와 중산층정책의 공백 원인을 국내외 연구를 활용해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한국은 강력한 중산층정책을 통해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의 개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기술혁신과 세계화가 중산층의 분화 및 감소를 야기하고, 시장자유화는 중산층 지원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축소시켰다.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감소를 막기 위한 복지정책의 강화에도 불구하고 중산층 감소와 중산층정책의 공백 문제는 악화되었다. 학력이 높아진 신중산층의 증가는 민주화와 노동운동의 동력이 되었지만 정치제도의 변화가 생산물시장 및 노동시장의 변화와 조화되지 못해 중산층 감소와 정책의 공백은 지속되었다. 산업과 고용의 이중구조는 중산층의 분화 및 감소를 지속시킨 반면, 중산층 감소에 따른 정치사회 불안의 증대는 유권자의 지각을 왜곡시켜 중산층정책의 개선과 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와 경제여건의 변동에 따라 정부가 자의적으로 개입해 중산층 감소에 대응하기보다 기업의 혁신과 교육 그리고 사회복지를 노동시장시스템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정책의 목표를 고용률과 임금 및 생산성 그리고 사회이동성을 제고하는데 두는 신중산층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reasons and problems for middle class policies to be hollowed out and suggests the direction to reform them by applying the related research outcomes of labor economics, political economy and behavior economics on middle class. Korea had achieved both economic growth and income equality owing to strong middle income policies until the 1980s. Even though economic growth and income equality have deteriorated since the 1990s, middle income policies have retreated as market liberalization has been emphasized. In addition, democratization and political instability have reduced concerns for middle class. Like advanced countries Korea has s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lobalization to cause job polarization and division of middle class to raise voters’ misperception on middle class policies. Both market failure due to dual economy and political institutions’ failure have brought vicious cycle between changes in middle class and labor market making middle class policies hollowed-out. Since political instability make middle class policies difficult to keep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building labor market systems to raise both employment rate and labor productivity as well as to strengthen social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