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이사야 45장 15절의 ‘미스타테르’에 대한 기존 번역과 해석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 문제는 오랫동안 제기되어온 사안이다. 그러나 그 해답에 관한 통일된 명확한 제안이 없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 문제를 다시 천착하여 그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라틴어 번역의 문제점(Deus absconditus)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여, MT의 히트파엘(재귀형)인 ‘미스타테르’를 피동적 차원에서 해석하는 것과 하나님이 숨으신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문맥상 어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사야 45장 15절의 콘텍스트인 이사야 45장 14-25절의 구조적 수사학적 검토를 통하여 확인하고, 다른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중요 해석들을 재검토하고, ‘미스타테르’의 어근인 ‘사타르’의 용례분석을 바탕으로 ‘미스타테르’의 본문 수정의 가능성에 관해 천착하였으며, 이사야 45장 15절에 대한 고대 역본들 특히 시리아어 역(페쉬타)을 재검토하였고,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이 본문에 대한 다음과 같은 번역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진실로 주 하나님은 피난처시오며,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요 구원자시옵니다.’


In this article I reexamin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xtant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mistattēr' of Is 45:15, and proposed their altermatives. These problems have been raised for a long time. But since there are not any clear and unequivocal solutions for them, I regarded it necessary to reexamine the problems in a more comprehensive way, and try to find out a new solution. I examined the inappropriateness of the extant understanding of the text at stake from the structural, rhetorical and thematic point of view on the text, analysing it within its own literary and theological context. I assessed some of the most important interpretations of the text, and tried to find out the possibile emendation of the text, examining the biblical usages of the word ‘sātar', and the ancient translations, particularly the Syriac translation (Peshitta) which shows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ancient Israelite theology. On the basis of it, I proposed a new translation in Korean, so that it may help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assage in ques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God in clearer terms. I proposed the following translation, which is similar to the Peshitta of the Old Testament: ‘Truly, Thou art God, the Refuge, God of Israel, the Savi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