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ADELMAN의 “A SPORTING TIME”의 이론체계를 이용하여 서구 스포츠의 근대화과정과 동양의 전통주의 태권도가 근대화되는 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스포츠화된 태권도의 구조적 탄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스포츠 사회의 형식은 자기(磁氣)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전통사회와 근대사회의 두 가지 양립관계 속에서 스포츠화된 태권도의 구조적 탄생을 도출하게 되었다. 스포츠의 상업주의는 두 가지 방향에서 태권도의 근대화에 공헌하였다. 첫째, 지역경제에 바탕을 둔 경쟁 스포츠의 성장을 조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직업 스포츠의 성장을 돕는 것이었다. 두 가지 특성은 본질적으로 태권도를 차별화시킨다. 첫째, 태권도는 육체적 역량과 기술의 방면의 경쟁적 상황에서 더 많이 보여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둘째, 태권도는 더욱더 합리화되었고 제도화 되었다. 본 연구에서 태권도는 표현적이라기보다는 도구적이며, 공리적이며, 규범적으로 엄격한 제도화된 범주 내에서 이해되어졌다. 스포츠화된 전통주의 태권도의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쟁스포츠에 관한 연구와는 달리 여가 스포츠의 주요 연구 또한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irth of the modernized sport of taekwondo by comparing the process of the dialogue process between Western sports and the process of traditional taekwondo in the East by using the theoretical system of ADELMAN’s 'A SPORTING TIME'. The results conclude that the form of sports society has led to the structural birth of sports. which demonstrates that Eastern taekwondo leads to two compat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scious society with the modern society. Sport commercialism was introduced to the modernization of taekwondo in two different directions. First, it promotes the growth of competitive sports based on the local economy, and the second was to help the growth of vocational sports. Two characteristics essentially differentiate taekwondo. First, taekwondo needs to be seen more in competitive situations in terms of fluid ability and skill. Second, taekwondo has become more rationalized as well as institutionalized. In this study, taekwondo was understood systematically as two classifications; axiomatic and normative rather than expressive. In contrast to the study of competitive sport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taekwondo in sports, Eastern traditionalism, the influence of leisure sports proved to be important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