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베트남이 메콩 델타로 영토를 팽창하는 역사 속에서 완거정은 두 개의 얼굴을 갖는다. 하나는 현재 베트남 영토 내에 있는 메콩 델타 거의 전부를 획득하는 데서 그의 공헌이다. 또 하나는 베트남 역사를 읽는 독자들의 눈을 현재의 베트남 영역에만 머물게 하는 그의 역할이다. 독자들에게 완거정의 메콩 델타 획득은 베트남 남진사의 마지막 단계로 인식된다. 그러나 완거정의 업적은 부분적이었을 뿐이다. 이 연구는 메콩 델타에서의 영토 팽창 추이에서 완거정 보다 무왕에 주목한다. 무왕의 목표는 완거정의 공헌에 의해 성취된 영토 획득보다 더 야심적이었다. 그리고 이 야심은 새로운 세계, 새로운 국제 질서를 건설한다는 그의 꿈에 의해 추동된 것이며, 그가 건설한 수도 푸쑤언은 이 새 국제 질서의 중심지였다. 여기서 그는 황제가 되기를 희망했다.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서 필자는 세 가지의 요소를 검토하고 있다. 첫째는 무왕 왕권의 성격이다. 두 번째는 메콩 델타에서의 군사 작전을 위한 준비 과정이다. 셋째는 새로이 무왕의 판도로 편입된 땅의 성격에 대한 것이다. 북부 홍하 델타에 근거한 레 황실의 신하를 자처하던 선대 지배자들의 태도와 결별하면서 무왕은 즉위한 지 6년 뒤인 1744년 자신이 왕임을 선포했다. 행정 조직이 개편되었고 의복과 풍속도 북부의 것을 버리고 남국의 것을 제정하였다. 무왕은 캄보디아, 참파, 수사, 화사, 만상, 남장 등 조공국도 충분히 확보했다. 레 왕조와 비교해 이 조공국의 숫자는 더 많았으며 19세기 대남 제국의 조공국 수와 맞먹었다. 필자는 이 시점에서 무왕이 실제로 원했던 자리는 왕이 아니라 황제였음을 지적한다. 비록 무왕의 시도는 실패했지만 그는 자신을 천왕이라고 칭함으로써 통상적인 왕은 아님을 분명히 했다. 캄보디아 왕이 캄보디아 영토 내의 참족을 공격한 게 무왕에게는 캄보디아에 개입하는 충분한 이유로 작용했다. 무왕은 이 참족이 자신의 신복이라 여겼다. 왕은 그들이 자신의 판도 내에 있는 참 즉 순성진 참인의 일부라고 간주했기 때문이다. 무왕은 1750년에 캄보디아에 전쟁을 선포했다. 동시에 그는 태국왕에게 외교 서한을 보냈는데 여기서 그는 캄보디아가 자신의 배타적 조공국임을 천명했다. 캄보디아의 영토였던 메콩 델타에의 공격을 개시하기 전에 무왕은 푸쑤언을 새로 건설해 제국의 위상에 걸맞는 권력중심지로 삼았다. 인플레이션, 기근, 경제 왜곡 등도 이 시기를 특징짓는 면모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무왕의 메콩 델타 진출 이유라고 이야기되어 온 이런 경제적인 측면보다 제국 건설자로서 무왕이 보이던 적극적 정책에 더 관심을 가지며 이런 정책에 기초한 영토 팽창의 욕구가 메콩 델타의 광활한 땅을 차지하고자 하는 데 결정적인 이유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1754년부터 3년 동안 현재 베트남의 영토에 해당하는 메콩 델타 대부분이 무왕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여기에는 완거정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무왕이 차지하고자 한 영역의 범주는 여기에 더해 메콩 오른편에 해당하며 현재의 사이공보다 위쪽에 있는 껌뽕짬, 프레이비엥, 스바이리엥을 포괄했다. 많아진 조공국의 수에 걸맞게 제국의 영토는 넉넉히 확대되어야 했다. 무왕의 전략은 ‘잠식지계’와 ‘이만공만’의 변주곡이었다고 이 글은 주장한다. 무왕은 하부캄보디아에 해당하는 델타를 야금야금 차지했다. 이는 누에가 뽕잎을 먹는 것과 같다는 게 일반적인 이해 방식이다. 그러나 무왕의 최종적 목표는 위에서 언급한 메콩 델타 세 개의 주까지 다 먹어치우는 것이었다. ‘다 먹어치운다’는 건 ‘잠식’의 또 다른 의미이자 적용이었다. 무왕은 현 롱안 지역으로부터 쩌우독에 이르기까지의 땅을 차지하는 과정에서 참인을 이용해 캄보디아를 쳤다. 이것은 ‘이만공만’의 표준적 적용이었다. 이에 더해 그는 막씨가 관할하던 중국인 망명자들을 이용해 하띠엔과 그 주변 지역을 캄보디아 왕으로부터 취했다. ‘이만공만’의 또다른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19세기에 출현할 응우옌 왕조의 제국 질서 뿌리를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을 주장한다. 제국 질서는 홍하 델타에 근거한 대월 제국 왕조들의 오랜 역사의 결과물이 아니라 푸쑤언에 앉은 무왕의 신 세계질서를 계승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만공만’과 ‘잠식지계’는 무왕의 후손들에게 여전히 유용했다. 그의 손자인 쟈롱은 타이, 크메르, 라오, 중국인, 산지민, 유럽인 같은 ‘만’을 이용해 또다른 ‘만’인 ‘떠이썬 도적떼(西賊)’를 이겼다. 떠이썬에는 수많은 중국인 및 중국 해적이 활동하고 있었으며 참인, 산지민이 있었다. 무왕의 증손자인 민망 황제는 화려한 제국을 건설했다. 동시에 그는 캄보디아와 참 영역을 몽땅 먹어치우면서 영토 확장에도 골몰하고 있었다.


Nguyễn Cư Trinh has two faces in the history of territorial expansion of Vietnam into the Mekong delta. One is his heroic contribution to the Nguyễn family gaining control over the large part of the Mekong delta. The other is his role to make the eyes of readers of Vietnamese history be fixed only to the present territory of Vietnam. To the readers, Nguyễn Cư Trinh's achievement of territorial expansion was the final stage of the nam tiến of Vietnam. In fact, however, his achievement was partial.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King Võ instead of Nguyễn Cư Trinh in the history of the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Mekong delta. King's goal was more ambitious. And the ambition was propelled by his dream to build a new world, and its order, in which his new capital, Phú Xuân was to be the center with his status as an emperor. To improve my assertion, three elements were examined in this article. First is the nature of Võ Vương's new kingship. Second is the preparat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military operation in the Mekong Delta. The nature of the new territory is the third element of the discussion. In 1744, six years after this ascending to the throne, Võ Vương declared he was a king. Author points out this event as the departure of the southern kingdom from the traditional dynasties based on the Red River delta. Besides, the government system, northern custom and way of dressings were abandoned and new southern modes were adopted. Võ Vương had enough tributary kingdoms such as Cambodia, Champa, Thủy Xã, Hoả Xã, Vạn Tượng, and Nam Chưởng. Compared with the Lê empire, the number of the tributary kingdoms was higher and the number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Đại Nam empire of the 19th century. In reality, author claims, the King Võ's real intention was to become an emperor. Though he failed in using the title of emperor, he distinguished himself by claiming himself as the Heaven King, Thiên Vương. Cambodian king's attack on the thousands of Cham ethnics in Cambodian territory was an enough reason to the King Võ's military intervention. He considered these Cham men and women as his amicable subjects, and he saw them a branch of the Cham communities in his realm. He declared war against Cambodia in 1750. At the same time he sent a lengthy letter to the Siamese king claiming that the Cambodia was his exclusive tributary kingdom. Before he launched a fatal strike on the Mekong delta which had been the southern part of Cambodia, Võ Vương renovated his capital Phú Xuân to the level of the new center of power equivalent to that of empire for his sake. Inflation, famine, economic distortion were also the features of this time. But this study pays attention more to the active policy of the King Võ as an empire builder than to the economic situation that has been told as the main reason for King Võ's annexation of the large part of the Mekong delta. From the year of 1754, by the initiative of Nguyễn Cư Trinh, almost whole region of the Mekong delta within the current border line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Võ Vương within three years, though the intention of the king was to extend his land to the right side of the Mekong Basin beyond the current border such as Kampong Cham, Prey Vieng, and Svai Rieng. The main reason was Võ Vương's need to expand his territory to be matched with that of his potential empire with the large number of the tributary kingdoms. King Võ's strategy was the variation of ‘silkworm nibbling’ and ‘to strike barbarians by barbarians.’ He ate the land of Lower Cambodia, the region of the Mekong delta step by step as silkworm nibbles mulberry leave(general meaning of tám thực), but his final goal was to eat all(another meaning of tám thực) the part of the Mekong delta including the three provinces of Cambodia mentioned above. He used Cham to strike Cambodian in the process of getting land from Long An area to Châu Đốc. This is a faithful application of the Dĩ Man Công Man (to strike barbarians by barbarians). In addition he used Chinese refugees led by the Mạc family or their quasi kingdom to gain land in the region of Hà Tiên and its environs from the hand of Cambodian king. This is another application of Dĩ Man Công Man. In sum, author claims a new way of looking at the origin of the imperial world order which emerg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t was not the result of the long history of Đại Việt empires based on the Red River delta, but the succession of the King Võ's new world based on Phú Xuân. The same ways of Dĩ Man Công Man and Tám Thực Chi Kế were still used by Võ's descendents. His grandson Gia Long used man such as Thai, Khmer, Lao, Chinese, and European to win another man the ‘Tây Sơn bandits’ that included many of Chinese pirates, Cham, and other mountain peoples. His great grand son Minh Mạng constructed a splendid empire. At the same time, however, Minh Mạng kept expanding the size of his empire by eating all the part of Cambodia and Cham terri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