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의 정서·행동적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국 아동 인성 평정 척도(KPRC)를 수정하여 농인 부모들이 사용할 수 있는 수어판(KPRC-SL)으로 개발한 뒤 타당화 하였다. KPRC-SL 개발을 위해 원문항을 농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한 후 수어로 번역하였고, 검사문항은 동영상으로 제작되었다. KPRC-SL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만 3–17세 자녀를 둔 농인 부모(N=115), 수화-한국어 이중언어자(N=16), 농인 참가자 자녀(N=40)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KPRC-SL의 내적 합치도는 .50–.85,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47–.89 범위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KPR-SL 하위 척도 간 상호관련성, 원판 검사와의 일치도, 평정자 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KPRC-SL의 하위척도 간 상관분석 결과, 개념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척도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일한 대상에게 KPRC-SL과 원판 검사를 모두 실시하여 두 검사의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대응되는 척도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r=.41–.97). 마지막으로 농인 참가자 자녀에게 KPRC 자기보고형을 실시하여 평정자 간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평정자 간 일치도는 평균 .23으로 기존 연구들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KPRC-SL이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 농인 자녀의 정신건강 문제를 탐지하는데 유용한 부모평정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Sign Language version (KPRCSL), an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In order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e KPRCSL, deaf who have 3–17 years child (n=115) performed KPRC-SL and test-retest was carried out for 23 deaf persons. Bilinguals in Korean and Korean sign language (n=18) filled out KPRC-SL and original KPRC to verify similarity between both assessment tools. In order to examine inter-rater agreement, children-report form of KPRC had been carried out on child of deaf participants (n=40) and compared with their parent’s report. The results showed that KPRC-SL had acceptabl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α=.50-.85) and test-retest reliability (r=.47-.89).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subscale of KPRC-SL, the correlation were higher with the subscale measuring the similar construct rather than others. KPRC-SL and original KPRC ha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responding scales (r=.41-.97). Inter-rater agreement we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M=.23). These results support that KPRC-SL is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and it can be useful for detecting mental health problems of CO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