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북항일연군과 조선의용군은 모두 1940년을 전후로 정치·군사적 특징이 변화하였다. 동북항일연군의 조선인들은 1936년부터 일제의 대토벌을 거치면서 민족혁명의 과제를 인정받았다. 이들은 1940년에 입소한 이후 동일집단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김일성이 동일집단의 지도자로 급격히 부상하였다. 동북항일연군은 입소 이후 소련극동군의 지휘를 받게 되었고, 소련군의 군사계급을 부여받았다. 그 결과, 동북항일연군은 1942년 이후 점차 중국공산당의 군대에서 소련극동군의 군대로 변화하였다. 조선의용군은 1943년부터 정풍운동과 지휘권 이양에 따라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정풍운동의 과정에서 최창익 등 북상파는 조선의용군에 대한 지휘권을 상실했고 이들이 주창해온 민족혁명론도 약화되었다. 반면에 중국공산당과 무정은 의용군에 대한 장악력을 확보했으며, 대열 내부에 마오쩌둥식 혁명론을 확산시켰다. 그 결과, 조선의용군은 1943년 1월부터 조선독립운동세력이 지도하는 민족혁명의 군대에서 중국공산당이 영도하는 팔로군의 군대로 변화하였다. 동북항일연군은 코민테른·소련공산당·스탈린의 혁명론과 왕밍의 항일민족통일전선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이와 달리 조선의용군은 마오쩌둥의 신민주주의혁명론과 계급연합에 기초한 통일전선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1940년 이후 동북항일연군이 주로 스탈린·소련공산당·소련극동군의 영향을 받았다면, 조선의용군은 주로 마오쩌둥·중국공산당·팔로군의 영향을 받았다. 1940년 전후 동북항일연군과 조선의용군의 변화는 이들이 1945년 해방 이후 정치활동을 전개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Both the Northeastern Anti‒Japanese Union Army(NAJUA) and the Korean Volunteer Army(KVA) have changed political and militar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1940. Koreans in the NAJUA began to work together in a single unit in the Soviet Union for the first time in 1940. Kim Il‒sung(金日成) suddenly emerged as a leader of the Korean people at this time. In addition, since 1942, the NAJUA has been command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CCP) and the Soviet Communist Party(SCP), and has been commanded by the Soviet Army. As a result, the NAJUA has changed from the Chinese Communist Army to the Soviet Army since 1942. Since 1943, the KVA have changed their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Rectification Campaign”(整風運動). In the course of the rectification campaign, Choi Chang‒ik(崔昌益) lost his grip on the army, and the national united front was also weakened. On the contrary, Kim Moo‒jung(金武亭) secured control over the army, and the Mao Zedong(毛澤東)’s revolutionary theory was spread in the KVA. The KVA was divided after the sectarian struggle. Since January 1943, the KVA changed from the army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to the army of the CCP. The NAJUA was influenced by the revolutionary theory of the SCP. On the contrary, the KVA were influenced by the revolutionary theory of the CCP. However, there was a common point in the revolutionary theory of the NAJUA and the KVA. After around 1940, both the NAJUA and KVA were putting the national united front over the class struggle and planning to build the people’s democratic government, not the soviet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