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아이돌 팬픽 문화의 특성과 의미를 주체적 문화 실천 집단으로서의 팬덤과 연관시켜 고찰한다. 이를 위해 팬덤의 개념과 위상 변화를 설명하고, 문화자본의 논리, 사회적 신드롬, 특히 아이돌 상품을 주어진 대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돌 문화 텍스트를 분해하고 파편을 조립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전유하거나 재전유하고 즐기는 “텍스트 밀렵꾼들”의 의미에 맞추어 한국의 아이돌 팬픽의 계보와 서사적 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팬픽 문화의 특이성을 드러낸다. 이는 병리적 ‘광신도 집단’이라는 고정관념을 상쇄시키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새로운 이미지를 획득한 여타의 팬덤 활동과 달리 팬픽 문화가 ‘그녀들만의 음지 문화’가 되고 있는 현실적 논의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사회 갈등-젠더 갈등-과 직결되는 취향의 마이너리티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점검한다. 팬픽의 개념적 재정의와 계보학적 분석, 최근 변화하고 있는 팬픽의 지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본 논문은 ‘동성애’ 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들의 성적 주체성에 한정되어 미미하게 진행되었던 팬픽에 관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를 넘어 팬픽 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eliberat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ehind idol fanfic culture, one of many subcultures of fandom, by relating them to the view on fandom as a participatory culture practice group. The changes in the concepts and statuses of fandom are explained. Idol phenomenon is discussed as a cultural construct formed by the logics of cultural capital, social syndrome, and the cultural influence scope of fandom alik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nfic culture are dealt with by analyzing the genealogy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idol fanfics. In doing so, the concept of “Textual Poachers”, where members decompose of mainstream idol cultural texts and reassemble for their own use and enjoyment is utilized. Fanfic culture continues to take the form of becoming ‘shade culture of their own,’ while fandom activities in general have offset the negative stereotypes of viewing them as pathological fanatics and moved on to acquire the image of active and voluntary media consumer. Connection is made with the construct and happenings. Lastly, the necessity of social discussions on the problems of preference minorities directly linked to social conflict, or gender conflict, is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