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체홉의 가장 사적인 작품인 「갈매기」는 그의 작품 중 예술을 주요소재로 다루는 몇 안 되는 작품들 중의 하나로서 자신의 예술관을 이론화하지 않았던 체홉의 창작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단초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상징주의의 발흥을 시작으로 첨예화된 신구갈등 상황은 이 작품의 예술테마를 신진작가 트레플레프와 중견작가 트리고린의 대립관계 속에 고립시켰다. ‘새로운 형식’의 주창자 트레플레프와 그의 전위극에 대한 체홉의 입장이 어떠한 것이냐에 대한 논의가 「갈매기」 연구의 화두로 던져진 것이다. 이후 체홉 말년의 두 희곡 「세자매」와 「벚나무 동산」에 쏟아진 후기 상징주의자들의 관심으로 체홉의 예술관과 ‘새로운 형식’ 담론 사이에는 불가분의 관계가 형성되었고, 80년대에는 체홉의 작품에 대한 상징주의적 해석이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트레플레프의 대립자 역할에 머물러 있던 트리고린은 논의의 중심에 서지 못했고, 체홉의 예술관과 관련하여 트리고린의 형상이 함의하는 바에 대한 의미화 작업 또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갈매기」의 예술테마에 대한 연구가 트레플레프와 그의 전위극의 ‘새로움’에 집중되어 이루어져 왔던 과정과 한계를 살펴보고, 트리고린의 형상을 통해 체홉이 전달하려 하는 예술과 삶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메시지를 찾아보려고 한다.


Данная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рассмотрению истории исследования темы искусства в «Чайке» А. П. Чехова и предложению новой точки зрения на эту проблему. «Чайка», самое личное произведение А. П. Чехова, является одним из ключевых произведений для понимания творчества Чехова, который не занимался теоретическим обоснованием принципов созда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произведений. Но так как «Чайка» создавалась в эпоху возникновения символизма в конце XIX века, тема искусства в «Чайке» также обсуждается прежде всего на основе полемики между Треплевым и Тригориным, т.е. между представителем нового течения в литературе и представителем старой литературы. В частности, исследователи творчества Чехова традиционно акцентировали свое внимание на образе Треплева и его стремлении к «новым формам» в искусстве. В результате образ Тригорина оставался недооцененным. В работе с опорой на некоторые факты из биографии Чехова и переосмысление авторского замысла пьесы особое внимание уделено образу Тригорина как «собирателя жизненных сюжетов». Таким образом, несколько по-новому раскрывается точка зрения самого Чехова на соотношение искусства и жизн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