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선택과 인식을 국가 간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제사회조사의 노동지향성 모듈(2005)을 이용하여 핵심근로연령대(25-54세) 근로자를 대상으로 OECD 18개국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을 비롯한 5개국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근로시간에 대한 선호는 시간제 전환에의 권리성이나 일자리질 등의 구조적인 요인보다는 개인적인 요인들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급노동의 의미를 경제적인 것에 두는 정도가 약할수록, 시간자율성을 중시할수록 시간제를 선호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은 시간제근로에 대한 선호가 상당 부분 개인의 삶의 가치와 관련 있음을 보여주지만, 일에 대한 가치부여와 인식이 현실의 제약에 구속될 수 있을 가능성도여전히 남아 있었다. 둘째, 짧은 근로시간을 선호할수록 실제로 시간제근로를 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시간제 근로가 저숙련 일자리에 더 일반화되어있는 현실 등으로 인해 시간제근로에 대한 선호와 실제 시간제일자리 선택이 같은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orkers’ preferences and choices on working time or part-time work. Using Work Orientation Module(2005) of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this study performed a multi-level analysis with the core working-age (25-54) workers of 18 OECD countries as well as a path analysis with five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on working hours was proved to be affected by individual factors rather than structural forces such as a worker’s right to request part-time or quality of part-time job. The less a worker focuses on the economic merit of paid work and the more (s)he values time autonomy, (s)he tends to prefer part-time work. This tendency proves that working-time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life values of individuals, while the possibility that even those values are restrained by their living conditions still exists. Second, the mechanism of preference on part-time and those of real choice proved to be different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part-time work prevails in the low-skilled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