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해방 이후 학교교육의 한 축을 담당했으나 정규 학제에 포함되지 못한 채 빠른 속도로 쇠퇴의 역사를 밟은 고등공민학교에 초점을 맞추어 1950-60년대 학교교육 성립 과정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법령, 통계자료와 더불어 당시 고등공민학교에 다녔던 이들의 구술 분석을 통해 1950-60년대 고등공민학교 교육의 구체적인 모습을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공민학교는 학력 미인정이라는 불안정한 지위 속에서도 1950-60년대 중학교 수준의 교육기회 확대 요구 수용을 담당했던 일종의 임시 교육기관이었다. 둘째, 고등공민학교는 소외계층의 학습열이 우회적으로 표출된 공간으로서 특히 여성에 대한 차별이 존재했던 당시, 교육기회를 박탈당한 여성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셋째, 고등공민학교는 농촌계몽운동이 활성화되던 시기, 지역사회교육운동의 거점으로서 새로운 교육적 시도를 추진한 대안적인 학교였다. 이처럼 고등공민학교는 정규학제에서는 벗어나 있었지만 지역사회 내 교육기관으로서 일조하며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배움터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학교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 과정을 직접 느껴야 했던 운영 주체들의 경험 또한 후속 연구로서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nd its social characteristics after the liberation focusing on higher civic school which decayed rapidly in South Korean school system despite the fact that higher civic school was one of the mainstays of the school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s focusing on experience of people who attended higher civic school in the 1950's and 1960's through an analysis of their oral life histories in addition to state-level materials available including the legislation and statistical dat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civic school in the 1950's and 1960's is a kind of temporary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i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spite of precarious position. Second, higher civic school is the place where strong desire to study of educational alienation class is indirectly expressed. In particular, regardless of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 of women's participation for education, higher civic school played a positive role in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Finally, at the time of the rural enlightenment campaign, as a hub for local educational movement higher civic school is an alternative school in which new educational attempts are initi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civic schoo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mmunity although it was included in an irregular school syst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anagement experience of administrators who experienced changes of school an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