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는데 있었으며,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검증 및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는 대구시에 소재하고 있는 D대학교 재학생 603명이었으며,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기초능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직업기초능력을 배양할 때 구직 준비와 실패에 대한 좌절 또는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과 타인으로부터 적극적인 도움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와 소통에 대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하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고용가능성은 더욱 향상된다는 점을 확인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ere administered to 603 students at D University in Daegu city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1.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basic abilities do not directly affect employabil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y and employabili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y and employa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improve employability through job basic ability, it is necessary to the curricular programs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related with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t can overcome frustration or stress on job preparation and failure and the social self-efficacy that can receive the active help and feedback of job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