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페이스북의 결속형(bonding), 연계형(bridging) 사회자본의 유형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식된 사회자본 네트워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과시적 자기노출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작용이 자아존중감이라는 개인적 변인을 통해 매개될 것으로 판단하여 자아존중감 변인을 추가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결속형 사회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계형 사회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결속 강도가 높아질수록 과시적 자기노출이 적은 경우 심리적 안녕감을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연계형 사회자본은 과시적 자기노출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속형 사회자본과 과시적 자기노출의 상호작용효과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은 자아존중감이 조건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계형 사회자본과 과시적 자기노출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은 자아존중감에 의해 매개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전략 수립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cebook. Also, this research examines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y self-disclosure. It was revealed that bonding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bridging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nega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when the intensity of bonding social capital increased, consumers with low self-disclosur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with high self-disclosure. Meanwhile, no such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regarding bridging social capital.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bonding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self-disclosure. However, there was no mediated moderation effect regarding bridging social capit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