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정책의 특징과 역내 에너지안보 구조의 정치경제적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에너지 공동체 설립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이 유엔을 중심으로 강조됨에 따라 에너지안보도 단순히 공급과 가격의 안정이 아닌 에너지 효율성의 증대, 환경오염방지 등 에너지 중심적 접근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2008년 미국의 셰일에너지 혁명으로 인해 미국의 동북아 에너지시장 진출이 가시화 되면서 동북아 에너지 안보 구조는 지정학적(geo-political), 지경학적(geo-economic) 차원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에너지 안보 문제는 협력과 경쟁의 병존 조건 위에서 양자주의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다자주의, 제도주의에 기반한 국제레짐이론의 가정에 따라 동북아 에너지 협력의 제도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안보 문제가 동북아 지역에서 어떤 성격을 지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동북아 에너지 안보 구조의 성격과 변화 내용을 검토한다. 또한 거버넌스 이론(Governance Theory), 국제레짐이론의 이론적 가정에 따라 동북아 에너지공동체 설립 가능성을 진단하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 of energy policy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define 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energy security structure, to ultimately suggest ways of establishing Northeast Asia energy community. Recently, a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highlighted by the United Nations, definition of energy security is changing into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includes energy-based approach such as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rather than just stabilizing supply and price of energy. Meanwhile, since the United States started entering into Northeast Asian energy market in the wake of its shale energy revolution in 2008, the energy security structure in Northeast Asia has been faced with new challenges at both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levels. Bilateral approaches on the condition of coexistenc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have a limit for addressing energy security issues. This is why some suggest that we need to institutionalize energ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ccording to the assumption of international regime theory based on multilateralism and institutionalism. This paper looks into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Northeast Asian energy security structure to find out what kind of energy security issues are emerging in the reg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possibilities and suggests ways of building Northeast Asia energy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theoretical assumption of Governance Theory and international regime theory.